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금태섭 전 의원은 22일 "이번 선거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집권세력의 독주에 대한 견제라고 생각한다"며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금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새 판을 짜고 변화된 모습을 보이는 데 제가 앞장서겠다"며 "앞으로 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말씀 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 전 의원은 이날자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도 "출마 결심이 확실히 섰다"며 "집권 세력의 폭주를 막으려면 나를 포함한 야권 후보들은 단일화에 나서 여당 후보에게 맞선 후보 단 1명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내년 재·보궐 선거 의미에 대해선 "집권세력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이 95일 앞으로 다가왔다. 대학 입학 정원의 77.3%를 뽑는 수시전형 원서접수는 다음달 6일 시작된다. 이런 가운데 확실한 대입 정보를 수험생들에게 매일매일 제공해줄 프로그램이 첫 방송을 앞두고 있어 화제다. 교육전문채널 글로벌A(대표이사 박인복)의 대입 정보 프로그램 ‘입시양명’이 12일 첫 방송을 시작으로 월-금 매일 오전 10시(재방송 저녁 6시, 밤 11시)에 방영된다. KT 올레티비 채널 979번과 CJ헬로 하나방송 채널 156번에서 볼 수 있다. 프로그램은 1회당 60분 편성으로 방영되며, 수시와 정시, 대학별 특징과 전략, 구체적인 사례별 1대1 가상 입시컨설팅, 자기소개서와 면접 대비 등의 코너로 이뤄졌다
7월부터 폐암 고위험자를 대상으로 국가암검진이 실시된다. 만 54~74세 중 30갑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사람이다. 보건복지부는 7월 1일부터 국가암검진 항목에 폐암이 추가된다고 밝혔다. 위암과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5대 암 국가검진 체계가 갖춰진 2004년 이후 15년 만에 6대 암 검진체계가 되는 것이다. 2017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폐암이 35.1명으로 1위다.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을 의미하는 5년(2012~2016년) 상대생존률은 폐암이 27.6%로 췌장암(11.0%) 다음으로 낮다. 위암과 대장암, 갑상선암, 전립선암, 유방암 등은 5년 상대생존률이 70%를 넘는다. 복
우리나라 요양병원 중 1등급 기관이 248개소로 10년 사이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8년(7차)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를 26일 발표했다. 이번 평가(7차)는 2018년 1분기 입원 진료분에 대해 요양병원 1305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2차 평가 대비 1등급 기관 비율은 4배 증가했고, 4등급 기관 비율은 2배 감소했다. 1305기관 중 1등급은 248기관(19%), 2등급은 508기관(38.9%), 3등급은 323기관(24.7%), 4등급은 143기관(11.0%), 5등급은 83기관(6.4%)이다. 지역별 분포로 1등급 기관은 경상권이 86기관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권>서울>충청권>전라권>강원권 순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심방세동’이 있는 노인은 치매 발병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 교수와 단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김동민 교수, 차의과대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양필성 교수팀은 60세 이상 노인에서 심방세동이 치매 위험을 1.5배 높인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최신호에 발표됐다.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인다. 혈액 흐름이 불규칙해 생긴 혈전(피떡)으로 뇌졸중의 위험 요인이다. 실제 심방세동은 뇌졸중 발생 위험이 5배 높고 전체 뇌졸중의 20%는 심방
대학병원보다 오히려 엄격한 요양병원 당직간호사 인력기준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요양병원의 경우 응급상황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간병인이 24시간 돌봄서비스를 제공, 환자 안전에 별다른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대한요양병원협회(회장 손덕현)는 최근 보건복지부에 당직간호사 인력기준을 현실에 맞게 개선, 완화해 줄 것을 건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의료법 시행규칙에서 당직의료인 기준은 의사의 경우 병원은 입원환자 200명당 1명, 요양병원 300명당 1명이다. 요양병원 당직의사 기준을 병원보다 완화한 것은 야간 시간대 응급상황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직의사와 달리 당직간호사의 요양병
앞으로 30년간 전 세계 인구가 20억명 이상 증가하며 오는 2050년에는 97억명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됐다. 저출산 고령화 추세가 뚜렷해지면서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현 9%에서 2050년 16%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유럽, 북미지역의 경우 4명 중 1명 꼴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유엔(UN)이 17일(현지시간) 공개한 '세계 인구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는 올해 77억명에서 2030년 85억명, 2050년 97억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2100년에는 109억명으로 정점에 달할 전망이다. 특히 인도는 2050년까지 가장 높은 인구증가율을 기록하며 2027년께 중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 1위에 올라설 것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허술한 인력배치 기준으로 인해 시설 10곳 중 6곳 이상에서 간호사를 배치하지 않고 있어 입소노인에게 제대로 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14일 개최된 한국보건행정학회 전기학술대회 '간호정책 현안과 발전방안’ 세션에서 이화여대 간호대학 신주현 교수의 발제를 통해 밝혀졌다. 신 교수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인력과 간호의 질제고 방안’ 발제를 통해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과 이용자 수는 2008년 1332개, 8만1252명에서 2017년 3261개, 17만6041명으로 각각 145%와 117% 증가했고, 급여비용 또한 1309억 원 수준에서 2조4892억 원으로 1800%나 큰 폭으로 늘어났으며
만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를 대상으로 면허를 자진 반납도록 하는 제도가 일부 시행됐지만, 대중교통 인프라가 열악하고 노인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농촌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3월 26일∼4월 8일 농업인 1천37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456명으로부터 대답을 받은 결과, 운전면허를 소지한 사람이 98.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설문에 응한 농업인 운전자 가운데 운전경력 '30년 이상 40년 미만'인 사람은 44.8%에 달했고, '40년 이상'이라는 응답자도 13.9%로 조사됐다. 운전 경력이 30년 이상인 중장년층이 58.7%에 달한다는 의미다. 농경연은 "이는 대중
노년에 항우울제를 복용하면 치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의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이스라엘 하이파 대학의 스테펜 레빈 사회정신건강학 교수 연구팀은 60세 이후 항우울제를 복용하면 치매 위험이 3배 이상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2년 현재 60세가 넘고 치매 진단을 받은 일이 없는 노인 7만1515명을 대상으로 2017년까지 진행한 조사를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내놨다. 조사대상 중 3천688명은 조사기간동안 항우울제를 복용했고, 나머지 6만7827명은 항우울제를 복용하지 않았다. 조사결과, 항우울제 그룹의 치매위험은 대조군에 비해 3.4배 높았다. 항우울제 그룹의 치매진
자살시도자 3명 중 1명은 ‘도움을 얻으려고 했던 것이지 정말 죽으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고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가 공개한 '2015~2018년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에 따르면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설문에 응한 2만6872명 중 34.8%만이 "정말 죽으려 했고, 그럴만한 방법을 선택했다"고 답했다. 반면 37.3%는 '도움을 얻으려고 했던 것이지 정말 죽으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고 답했다. 25.5%는 '죽고 싶은 마음은 있었으나 실제 죽을 수 있는 방법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자살시도자 2명 중 1명(50.8%)은 자살시도 시 주변에 도움을
지난해 서울에서 2000건이 넘는 노인 학대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시남부노인보호전문기관과 서울시북부노인보호전문기관의 집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60세 이상 노인을 학대한 건수는 총 2090건이었다. 정서적 학대가 1034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체의 49.5%를 차지했다. 신체적 학대가 763건(36.5%), 돌봄이 이뤄지지 않은 방임은 143건(6.8%), 경제적 학대는 98건(4.7%) 등이었다. 유기(12건), 성적 학대(10건)도 있었다. 올해는 4월까지 총 639건의 노인 학대가 발생했다. 역시 정서적 학대가 320건(50.1%)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학대 건수는 2016년 2150건에서 2017년 1910건으로 줄었다가 다시
국민 10명 중 8명 가까이는 정부가 세금을 더 거둬 복지를 늘리는 정책에 대해 정당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Ⅴ)’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세금을 더 거둬서 복지를 확대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물음에 75.78%가 ‘정당하다’(‘당연히 정당하다’ 18.24%, ‘대체로 정당하다’ 57.54%)고 답했다. 이는 2018년 6∼9월 전국의 만 19세 이상∼75세 이하 성인남녀 3,873명(남성 1,967명, 여성 1,906명)을 상대로 대면 면접으로 각종 사회경제적 갈등 현안에 대한 정부 개입의 정당성을 조사한 결과다. ‘복지확대를 위해 세금을 더 거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