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HOME  >  연예

방탄소년단 지민,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2월...1위

입력 2022-02-19 09:05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빅데이터 분석결과...2위 워너원 강다니엘, 3위 2PM 준호

방탄소년단 지민
방탄소년단 지민
[비욘드포스트 이지율 기자] 2022년 2월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방탄소년단 지민, 2위 워너원 강다니엘, 3위 2PM 준호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지난 1월 19일부터 2월 19일까지 보이그룹 개인 703명의 브랜드 빅데이터 117,020,308개를 추출하여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 행동분석을 가지고 만든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만들어진 지표이다.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분석을 통해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들의 관심과 소통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브랜드평판 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추천지표가 가중치로 포함됐다.

2022년 2월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10위 순위는 방탄소년단 지민, 워너원 강다니엘, 2PM 준호, 방탄소년단 뷔, 방탄소년단 진, 방탄소년단 정국, 아스트로 차은우, 방탄소년단 슈가, 위너 이승훈, 슈퍼주니어 희철 순으로 분석됐다.

방탄소년단 지민,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2월...1위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방탄소년단 지민 브랜드는 참여지수 982,540 미디어지수 930,270 소통지수 2,576,737 커뮤니티지수 2,769,00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258,554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7,170,347과 비교하면 1.23% 상승했다.

2위, 워너원 강다니엘 브랜드는 참여지수 2,581,721 미디어지수 1,454,587 소통지수 1,698,431 커뮤니티지수 1,336,39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071,135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5,357,592와 비교하면 31.98% 상승했다.

3위, 2PM 준호 브랜드는 참여지수 965,592 미디어지수 1,121,658 소통지수 1,272,223 커뮤니티지수 1,381,69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741,167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7,425,507과 비교하면 36.15% 하락했다.

4위, 방탄소년단 뷔 브랜드는 참여지수 776,124 미디어지수 742,118 소통지수 1,622,650 커뮤니티지수 1,587,55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728,442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2,928,215와 비교하면 61.48% 상승했다.

5위, 방탄소년단 진 브랜드는 참여지수 494,051 미디어지수 463,496 소통지수 926,852 커뮤니티지수 2,638,30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522,702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5,091,203과 비교하면 11.17%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2월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방탄소년단 지민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 카테고리 분석을 해보니 지난 1월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113,481,843개와 비교하면 3.12%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5.16% 하락, 브랜드이슈 3.22% 상승, 브랜드소통 2.78% 상승, 브랜드확산 8.07% 상승했다."라고 브랜드 분석했다.

이어 "보이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방탄소년단 지민 브랜드는 링크분석에서 '회복하다, 복귀하다, 돌파하다'가 높게 나왔고, 키워드분석에서는 '인스타그램, 명예졸업장, 맹장수술'가 높게 분석됐다. 긍부정비율분석에서는 긍정비율 85.61% 분석됐다. 지난 1월 방탄소년단 지민 브랜드평판지수 7,170,347과 비교하면 1.23% 상승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65% 하락, 브랜드이슈 1.37% 하락, 브랜드소통 1.30% 상승, 브랜드확산 3.15%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