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육상양식은 실내에 해양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 김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번 사업은 향후 5년간 350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R&D 프로젝트다.
대상은 전남·전북·충남 등 3개 지방자치단체와 공주대·포항공대 등 12개 대학 연구소, 하나수산 등 11개 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육상양식 김 종자 연중공급 및 대량양성 기술개발과 김 연중생산 육상양식 시스템 및 품질관리 기술개발 사업이 골자다.
대상은 지난 2016년부터 김 육상양식을 기획했다. 1차 시범 양식을 통해 김 원초를 40∼50㎝ 크기로 키우는 데 성공했다. 2차 시범 양식을 위한 시설을 조성 중이다. 오는 2029년까지 기술개발과 상용화 시스템을 마련, 2030년부터 육상양식으로 수확한 김을 상품화하는 것이 목표다.

최종적으로는 개발한 기술을 어업인에게 보급해 해조류 양식 산업 전반의 생태계를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풀무원은 2006년부터 김 종자 개발을 시작해 2014년 민간기업 최초로 품종보호권(풀무노을, 풀무해심)을 획득하고 상품화에 성공했다. 지난해 3월 충북 오송에 있는 풀무원기술원에서 육상수조식 해수 양식업 허가를 취득하고 김 육상양식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반면 식품업계 1위 CJ제일제당과 국내 식탁 김 1위 동원은 이번 사업자 선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한종훈 기자 hjh@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