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HOME  >  산업

정부, 일본 화이트리스트 정면대응…100개이상 핵심품목에 5조원 ’투입한다‘

입력 2019-08-28 12:25

28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연구개발 투자 전략 및 혁신대책’

(사진=뉴시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사진=뉴시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조치에 대응해 정부가 28일 국무총리 주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부처 간 회의를 열고 관련 대책을 확정했다.

이날 정부는 핵심기술 자립역량 확보를 위한 ‘소재ㆍ부품ㆍ장비 연구개발 투자 전략 및 혁신대책’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앞서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가 실시된 7월초부터 100+α개 핵심품목에 진단을 실시했고 올해 중으로 핵심진단을 모두 아우른다는 방침이다.

우선 일본 수입 의존도가 큰 품목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기술수준이 높거나 수입다변화가 가능한 품목은 글로벌화를 목표로 하고, 반면 기술수준은 낮지만 수입다변화 가능성이 큰 핵심부품은 단기적으로 대체품 조기 공정 투입지원과 중장기적 기술확보를 병행한다.

투자범위는 기존 연구에 설정된 예산과는 무관하며 독자적으로 이뤄진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밖에 정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소속으로 핵심품목관리를 담당하는 ‘소재·부품·장비 기술 특별위원회를 설치한다. 이곳에는 대기업도 참여해 전략을 논의할 계획이다. 또 긴급연구도 수행할 수 있게끔 기존 산학연 내 국가연구실(N-LAB)을 지정, 운영한다.
.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