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부진에 비상경영체제속 투자 철회

지난 상반기에 진행된 예비입찰에는 이름을 올렸지만 본입찰 단계에서 매각 측에 법적 구속력을 갖춘 제안(비딩오퍼)을 건네지 않았다. 현재 JP모건 본사가 매각 실무를 총괄 중이며 서울지점의 참여도는 미미한 편이다. 예비입찰에는 SK하이닉스와 중국 전략적투자자(SI) 두 곳이 뛰어든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국내 대형 증권사를 자문사로 선정한 뒤 예비입찰에 뛰어들었다. 직접 참여하는 대신 사모펀드(PEF)에 출자하는 방식을 택했었다. 당시 알케미스트캐피탈파트너스코리아가 프로젝트펀드를 조성해 매그나칩반도체 인수전에 뛰어들고, SK하이닉스는 해당 펀드의 출자자로 이름을 올릴 예정이었다.
SK하이닉스가 인수를 포기한 것은 회사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지난 2분기 어닝쇼크를 기록한 뒤 D램과 낸드플래시 감산에 돌입했으며, 투자 계획도 전면 재검토하는 등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다. 매그나칩반도체를 인수하면 비메모리 부문을 키울 수 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게 더욱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로써 매그나칩반도체 매각 여부는 또다시 표류하게 됐다. 중국 SI는 법무법인 태평양을 자문사로 두고 인수를 검토했지만 매각 측과 진전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매그나칩반도체 대주주들은 2015년 바클레이스캐피털을 주간사로 선정해 매각을 시도했으나 불발된 바 있다.
이번 거래 대상은 매그나칩반도체 파운드리 사업과 청주 생산공장(Fab4)이었다. 시장에서는 지난해 상각전영업이익(8000만달러·약 970억원)을 감안해 매각 가격이 약 7000억원 정도로 책정될 것이라고 전망해왔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