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감안시 임대료 증가 영향 더 커’

남성현 연구원은 특히 “자산유동화에 따라 영업비용증가 이뤄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남 연구원은 “자산유동화 이후 연간 임대료 발생액이 320~360억원에 이를 것”이라며 “이마트가 재무구조개선 목적을 밝힌 만큼 차입금 상환에 따른 이자비용 감소분은 이를 상쇄할 가능성이 높지만, 동사의 신용등급(한신평 무보증사채 AA+)를 감안할 경우 임대료 증가에 따른 영향이 더욱 클 것”이라고 판단했다.
앞서 지난 13일 이마트는 공시를 통해 대형마트점포 부동산을 기반으로 자산유동화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마트는 이에 대해 매각 예상금액은 약 1조원, 유동화 자산은 10여개 내외로 추정했다. 이마트는 이번 자산유동화를 통해 부동산 자산을 효율화하는 작업 진행과 유입된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자사주매입 계획도 밝혔다. 취득예정금액은 약 950억원, 취득목적은 주가안정화를 통한 주주가치제고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