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원소득수지 흑자 30억 달러로 역대 최대…배당·이자수입 늘어

여행수지, 서비스 수지 적자도 넉달 째 개선됐다. 단 반도체, 유가하락 등으로 인한 수출감에 따른 상품수지는 전년대비 두자리수 하락폭을 이어 갔다.
5일 한국은행은 지난 7월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69억5000만달러라고 발표했다. 한달전보다 5억7000만원 늘어난 규모로, 작년 10월이후 9개월만에 최대다.
이는 상품 수출과 수입의 차액인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작년보다 줄었지만 서비스 수지 적자규모가 줄고 투자소득 등을 포함한 본원소득수지 흑자 규모가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7월 반도체 유가등의 영향을 받은 상품수지 흑자는 61억9000만 달러로 전년동기 107억9000만달러에서 현저히 줄어들었다.
수출이 482억6000만달러로 1년전보다 10.9%감소해 8개월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수입은 420억8000만달러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7월 서비스수지 적자는 1년전보다 적자폭을 줄였다.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 입국 증가로 여행수지적자(11억8000만달러)가 11개월 연속 개선된 덕분이며, 운송수지 적자(3억6000만달러)도 12개월 연속 개선됐다.
지적재산권 사용료는 작년 7월 4억달러 적자에서 올해 7월 1조1000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특히 배당소득수입이 작년 7월 14억7000만 달러에서 올해 7월 28억9000만 달러로 많이 늘었다.
7월 배당소득수입 규모는 지난 6월(32억7000만 달러), 2014년 6월(30억2000만 달러)에 이어 역대 3번째 규모로 많았다.이자소득수입은 19억 달러로, 역대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이 베트남 등 해외법인의 이익잉여금을 본사로 회수한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에선 7월 중 65억5000만 달러 규모로 순자산이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가 99억7000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가 48억6000만 달러 늘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