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제 대상이 적용되면서 대한국 수출이 줄긴 했지만, 일본 전체 수출 비중이 적고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중국 수출이 감소세를 나타내면서 한국은 일본 수출국 3위를 유지했다.
23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일본이 대한국 수출규제를 발표한 지난 7월 일본의 대한국 수출금액은 4361억원(약 4조8000억원)으로 총 수출금액인 6조6434억엔(약 73조1000억원)의 6.6%수준으로 나타냈다.
이보다 앞선 6월 일본의 대한국 수출품 총수출액(6조5858억엔)에서 한국(4131억엔)은 6.3%수준으로 0.3%p차이에 그쳤다.
오히려 일무재무성에 따르면 지난 8월 비중은 8월 대한국 수출은 전체 6조1410억엔 중 4226억엔으로 그 비중이 7월보다 0.3% 포인트 늘어난 6.9%를 기록했다.
단순 수치만 놓고 보면, 6.6%(6월)→6.7%(7월)→6.9%(8월) 순으로 증가한 셈이다.
다만 품목별로 보면 대한국 수출의 하락세가 엿보인다. 일본 재무성이 지난달 29일 발표한 7월 품목별 무역통계에 따르면 에칭가스의 지난달 한국 수출량은 479t으로 전월대비 83.7%감소했다. 또 다른 품목의 수치 역시 에칭가스의 일본 시장도가 그나마 낮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높은 수준의 하락률을 보였다는 추산이 나온다.
한편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일본의 중국과의 교역 위축이라는 면도 반영돼 한국이 선방했다는 해석도 있다. 일본의 7월 대중수출은 9.3%급감해 무역적자가 전월 1319억엔에서 3837억엔으로 두배이상 확대됐다.
이외에서 한국의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양국의 무역수지에 더욱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