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업계 내 최고 수준이며,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년을 넘긴 항공기에서 정비요인에 의한 지연, 결항 등 비정상운항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이 국토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아시아나 항공 보유 항공기 87대 중 20대(22.9%)가 20년이상 된 노후 항공기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전체를 통틀어 가장 오래된 여객기는 1993년 11월 식 B767-300인데 아시아나항공에서 여전히 운항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항공은 보유 항공기 170대 중 18대(10.5%)가 20년 이상 됐고, 1997년 1월식 A330-300 여객기가 아직 운항하고 있었다. 또 이스타항공은 23대 중 2대(8.6%)가 20년 이상 된 노후 비행기였고, 1998년 7월식 B737-800 기종 역시 여전히 운항 중이다.
아시아나항공은 20년이상 노후 항공기 비율이 이 두회사보다 각각 2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 밖에 제주항공(45대), 진에어(26대), 에어부산(26대), 티웨이항공(26대), 위 4개 항공사에는 20년이 넘은 노후 항공기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20대 이상 항공기를 보유한 국적항공사의 항공기 평균 기령으로는 에어부산 12.9년, 진에어 12.3년, 아시아나항공 11.9년, 이스타항공 11.4년, 제주항공 11.2년, 티웨이항공 10.0, 대한항대한항공 9.7년 순이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