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강원도 강릉, 삼척에 건설 중인 신규 화력발전소에 대해 지역 전력수급에 문제가 없다며 이를 백지화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권승문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은 6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의원, 녹색연합 주최로 열린 ‘신규 화력 발전소 필요성 점검과 대안 검토’ 토론회 발제자로 나서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을 중단하고 기존 석탄 화력 발전소 폐쇄로드맵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노후 석탄발전소를 조기 폐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한편으로는 강원 삼척에 2기, 강릉에 2기 등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권 부소장은 산업부가 2017년 말 확정한 '제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언급하며 "강원 지역 석탄화력발전소 4기의 건설을 중단하더라도 설비 예비율(최대 전력 수요가 발생하는 시점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수급하기 위해 필요한 예비전력 비율)은 2026년부터 18% 수준을 유지해 최소 예비율 13%를 넘는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강원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은 정부의 에너지 정책과도 상충한다"며 "강원의 전력 자급률은 2018년 184%에서 2021년 전국 최고 수준인 400% 이상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성희 녹색연합 전환사회팀장도 "삼척 화력발전소 건설 인허가 과정에서 문화재 지표 조사가 부실해, 예상과 달리 존재하지 않는다던 천연동굴이 2개나 발견됐다. 화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대기오염 영향 등도 주민에게 설명하지 않았다"며 삼척 화력발전소의 신규 건설사업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