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 부문의 전망을 ‘안정적’으로 제시하면서 현대차의 신용등급 ‘BBB+’와 등급전망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피치는 28일 발표한 ‘2020전망: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제조업체 보고서’에서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2018년과 2019 현재까지 실적이 판매 부진과 품질 이슈에 관한 일회성 조정으로 영향을 받았지만, 내년에는 실적 향상으로 종 레버리지(차입)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대차와 기아차는 합계 100억원 가량이 순현금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다음 2~3년간은 에비타 대비 순부채 비율(조정치)도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신기술에 대한 투자로 자본비용이 증가하겠지만, 영업을 통한 현금 흐름을 통해 부담이 덜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엄격한 배출 규제를 충족시키고 전기차 포트폴리오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데, 미국 앱티브와 최근 합작투자를 하고 인도의 레브, 동남아시아그랩 등 카세어링 업체에 투자하기도 했다”며 “빠른 신기술을 이뤄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피치는 한국 업체들의 내년 지역별 자동차 판매 실적으로는 "미국과 유럽에서는 판매가 감소하겠지만 중국에서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의 승용차 판매는 2017~2018년의 역성장 이후 매우 완만하게라도 다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자동차 교체 수요가 판매 회복을 주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피치는 아태지역 자동차 제조업에 대한 전망으로는 "글로벌 수요 감소와 청정에너지·신기술 투자 확대는 아태지역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수익성과 현금흐름 창출에 지속해서 압박을 줄 것"이라며 "그러나 우리의 '안정적' 전망은 메이저 업체들의 견실한 재무 상태가 이런 도전에 직면할 충분한 유연성을 준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