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수지 7조9000억·관리수지 45조6000억 적자

기획재정부가 8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1월호’에 따르면 올해 1~11월 걷힌 국세수입은 276조6000억원으로 전년대비 3조3000억원 감소했다.
해당시기까지 세금이 걷힌 규모를 의미하는 ‘세수진도율’은 11월 93.8%로 전년(95.3%)대비 1.5%포인트 줄었다. 최근 5년 평균 진도율이 94.4%보다는 0.6%포인트 하락했다.
예산 기준 세수 진도율은 1년전보다 10.6%포인트 내려갔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예산 대비 초과세수(25조4000억원)가 커서 연중 진도율(109.5%)이 매우 높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1월 한 달 기준으로 국세 규모는 16조2000억원으로 1년전보다 3000억원 감소했다. 소득세는 10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원 증가했다. 법인세는 전년과 같은 1조5000억원, 부가가치세(1조1000억원)는 1년전보다 1조8000억원 줄었다.
1~11월 세외수입은 22조원으로 1년전보다 1조원 줄었다. 같은 기간 사회보장 등 기금 수입은 136조7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7조원 증가했다. 사회보장 등 기금 수입의 경우 고용보험 가입자수가 증가했고, 국민연금은 지역가입자에서 사업장 가입자로 전환되면서 증가했다.
국세수입에 세외수입과 기금수입을 더한 총수입은 435조4000억원으로 전년대비 2조6000억원 늘었다. 정부의 확장재정 기조에 따라 1~11월 총지출액은 1년전보다 47조9000억원 늘어난 443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10월 누계 기준으로 통합재정수지는 7조9000억원 적자를 나타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인 2009년(10조700억원)이후 최대 규모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 사회보장성 기금을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도 45조6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최대치다. 관리재정수지는 정부의 실제 살림살이를 나타낸다.
정부는 지난 4월 추가경정예산안을 반영해 올해 통합재정수지가 1조원 흑자, 관리재정수지는 42조3000억원 적자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예상보다 재정수지가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한재용 재정건전성 과장은 “당초 정부 예상보다 재정수지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적극적인 재정 집행 목표를 넘어설 수 있고, 수지는 정부 전망치보다 못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 과장은 “12월에는 국고채 상환이 되는 만큼 국가채무도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연말 중앙 정부 채무는 정부예상수준(701조9000억원)에 머물거나 700조가 안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요관리대상사업 재정집행 실적은 291조9000억원 중 11월까지 276조4000억원(94.7%)가 집행됐다. 중앙부처는 연간계획대비 94.2%인 237조9000억원, 공공기관은 98.0%인 38조5000억원이 집행됐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