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업계에 따르면 2018년 12월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본격화한 검찰의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수사가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는 이르면 다음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공개 소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최근 이영호 삼성물산 사장과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을 비롯해 전현직 삼성 핵심 인사들을 잇달아 조사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왔다. 이밖에 김신 전 삼성물산 대표와 김종중 전 미래전략실 전략팀장(사장), 장충기 전 차장(사장), 최지성 전 실장(부회장), 최치훈 삼성물산 이사회 의장(사장) 등도 검찰에 소환된 바 있다.
삼성바이로로직스는 지난 2015년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자회사 회계 처리 기준 변경을 통해 4조5000억원 규모의 분식회계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 2018년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가 삼성바이로로직스를 검찰에 고발하면서 수사는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검찰은 삼성바이로로직스 분식회계 의혹이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의혹과 직결됐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해 왔다.
검찰은 분식회계 의혹 관련 수사가 어느 정도 진행된 만큼 의혹의 ‘윗선’으로 평가받는 관계자들을 연이어 불러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불법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해서 최고책임자 등을 확인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달 내 수사를 마무리 짓겠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조만간 이 부회장에 대한 조사가 진행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당시 합병이 이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 강화를 위한 일환이었다는 지적이 줄곧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부회장에 대한 조사가 바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반박도 나온다.
검찰은 앞서 지난해 윗선 수사로 넘어가기 위한 핵심 인물인 김태한 대표를 구속하는 데 두차례 실패한 바 있다. 이후 수사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검찰 인사에 따라 수사팀 구성에 변화가 생기기도 했다. 아울러 법무부의 직접수사 축소 방침에 따라 그간 수사를 담당해 온 수사부(반부패수사부)가 경제범죄형사부로 바뀐 점도 있다.
이로써 검찰이 의혹의 최고책임자라 할 수 있는 이 부회장의 직접 조사에 대해 주의를 기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