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지속성장연구소가 20개 업종별 매출 상위 10개 기업씩 총 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해 본 결과, CEO급에게 지급된 급여 총액은 4464억원으로 649명의 사내이사에게 지급한 1인당 평균 보수액은 6억8783만원으로 나타났다. 임원급 7189명에게 지출된 평균 보수는 3억5698만원, 직원 90만명이상이 받은 보수액은 7919만원으로 집계됐다.
200대 기업의 경우 임원 1인당 평균 보수는 직원 대비 3.8배 높았다. CEO는 임원보다 1.9배 더 많은 보수를 받았고, 직원 대비 8.7배나 높았다. 특히 지난 해 200대 기업 CEO 평균 보수는 같은 해 책정된 최저 연봉(2094만 원)과 비교하면 32.8배에 달했다.
CEO급 평균 보수를 100이라고 했을 때 임원급 보수는 CEO의 51.9% 수준이었고, 직원은 11.5% 정도 되는 급여를 받은 셈이다.
업종별로 20개 산업군 중 지난해 CEO평균 보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정보·통신’분야였다. 이 업종의 지난 해 CEO급 평균 보수는 15억2680만 원이나 됐다. 임원급은 4억2100만 원, 직원은 평균 8120만 원으로 나타났다. CEO와 직원 간 보수는 18.8배로 큰 격차를 보였다.
‘유통·상사’업종은 CEO와 직원 보수차가 가장 컸다. 두 집단 간 급여는 23.8배 정도 벌어졌다. CEO-임원-직원 간 보수 비율은 100 : 24.4 : 4.2 구조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CEO와 직원간 보수 격차가 낮은 곳은 ‘전기·가스’업종이 꼽혔다. 이 업종의 작년 CEO급 보수는 3억 1390만 원, 직원 평균은 8130만 원으로 CEO와 직원 간 급여 차이도 3.9배 정도로 낮았다.
섬유 업종 역시 CEO(1억 5810만 원)와 직원(3930만 원) 간 보수 격차는 4배 정도 차이를 보였다. 이외 제지업(4.4배), 교육업(6.9배), 제약업(8배), 조선·중공업(8.1배) 등도 상대적으로 CEO와 직원 간 급여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이번 조사와 관련해 신경수 대표는 “국내 대기업의 경우 CEO와 직원 간 보수 차이가 10배를 넘지 않는 기업이 전체의 60%에 달했고, 평균 15배 넘는 격차를 보이면 통상적으로 고액 보수를 받는 기업군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며 “특히 국내 기업 중에는 경영 성과와는 별개로 단지 오너 일가라는 이유로 고액 보수를 받아가는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에 CEO 보수를 좀더 합리적으로 책정하는 기업 문화가 정착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