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외에도 삼성은 국내외 임직원 대상 노동 관련 준법 교육 의무화, 컴플라이언스 감시활동 강화, 노동·인권 단체 인사 초빙 강연 등도 방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시민단체와의 소통 창구 역할을 수행할 전담자를 지정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환경, 경제, 소비자, 인권 등 다양한 분야의 시민단체와 간담회를 갖고 사내 행사에 시민단체를 초청하는 등 폭넓은 활동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삼성은 또 준법 의무 위반을 방지하고 경영 효율 증대를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경영체계'를 중장기 과제로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이재용 부회장이 "자녀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밝힌 데 따라 계열사별 특성을 고려해 총수 없이도 지속 가능한 경영방식을 준비해나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법령과 제도, 해외 기업 사례 등의 연구를 외부 전문기관에 발주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준법감시위원회는 서울 삼성생명서초타워에서 정기회의를 열고 삼성 7개 계열사 컴플라이언스 담당 임원들의 보고를 받았다.
준법감시위 측은 회의 종료 이후 "진전된 내용이 포함됐다"면서도 "세부적 과제선정과 구체적 절차, 로드맵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그러면서 삼성에 노조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실효적 절차 규정 정비, 산업안전보건 확보 방안 등을 검토하라고 요청했다. 시민사회와 협력해 구현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도 고민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위원회는 "중장기 과제로 추진할 수밖에 없는 내용은 이행 여부를 지속해서 점검할 것"이라며 경영권 승계 관련해선 시간을 주겠다는 뜻을 밝혔다.
삼성의 경영권 승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은 이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오는 8일 밤늦게 구속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재계 일각에서는 이 부회장이 구속될 경우 준법위 권고사항을 이행하기 어렵지 않겠냐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 위원회 위원 중 삼성전자 내부 위원으로 활동 중인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이 사임 의사를 밝혔다.
위원회 권고로 회사의 대내외 소통이 확대됨에 따라 CR(Corporate Relations) 담당 임원으로서의 업무 수행에 집중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위원회 측은 앞선 권태선 위원 사퇴로 생겨난 공석과 함께 후임 위원 선임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