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HOME  >  산업

64대 그룹, 고용영향력 10% 수준…삼성 의존도 높아

입력 2020-06-11 11:00

대기업집단 지난해 매출, GDP의 84%
삼성 59개 계열사 순이익 34%…이중 삼성전자 78%

(자료=CXO연구소)
(자료=CXO연구소)
[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국내 64개 대기업 집단이 지난해 올린 매출 규모가 같은 기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84% 수준에 달할 정도로 높지만, 고용 영향력은 10% 내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그룹 순이익 중 34%는 삼성에서 올렸고, 삼성 내 59개 계열사 중 78%는 삼성전자에서 나온 것으로 집계돼 삼성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019년 64대 대기업 집단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서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밝혔다.

작년 국내 64대 그룹에 속한 계열사는 모두 2284곳이었다. 2200곳이 넘는 회사에서 올린 전체 매출액은 1617조원 규모다.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명목 GDP 1919조원의 84.3%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중 삼성(314조원)이 올린 매출은 19.4%로 가장 컸다. 이어 현대차 11.5%, SK 10% 순이었다.

이들의 매출 파워와는 달리 64대 그룹의 고용 영향력은 11%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4대 그룹에 속한 2200곳이 넘는 계열사에서 고용한 직원 수는 158만명 수준이다. 작년 12월 기준 고용보험에 가입된 고용 인력 1386만명의 11.4% 정도에 불과하다. 실제 자영업지까지 포함하면 대기업 집단의 고용 영향력은 더 낮아진다. 역으로 64대그룹을 벗어난 중견·중소기업 등에서 국내 고용의 90%를 책임지고 있다는 얘기다.

삼성그룹의 경우 계열사 전체 매출액은 국내 GDP대비 16.4% 수준으로 그룹 중 가장 높았다. 국내 GDP대비 6분의 1정도에 해당하는 비중이다. 개별 회사 중에서는 삼성전자 한 회사가 GDP대비 8%수준으로 매출 파워가 높았다.

그룹별 고용 규모에서는 삼성이 26만 명으로 64개 그룹 중 16.5%의 고용 영향력을 보였다. 이어 현대차가 16만 명(10.5%) 수준으로 두 번째로 높은 고용 포지션을 유지했다. 이외 고용 10만 클럽에 가입한 그룹으로는 LG 15만 명(9.7%), SK 11만 명(7%)으로 파악됐다.

국내 영향력 1위 삼성 그룹이 지배하고 있는 계열사는 작년 기준 59곳인데 이중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49.2%(154조 원) 정도였다. 삼성 계열사 전체 매출액 중 절반은 삼성전자가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삼성 내 5% 이상 매출 비중을 기록한 계열사는 삼성생명·삼성디스플레이(각 8.6%), 삼성화재(7.2%), 삼성물산(6.4%) 네 곳이 포함됐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14조 원)과 당기순익(15조 원) 포지션은 더욱 컸다. 그룹 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익 비중은 각각 72.7%, 78.3%로 70%대 영향력을 보였다.

오일선 CXO연구소 소장은 “국내 대기업 집단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은 쉽게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높다는 것은 수치로도 명확하다”면서도 “다만 높은 매출 등에 비해 64대 기업 집단의 고용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고용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