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ad
ad

HOME  >  정책·지자체

박 보건장관 "31일 72명 이라크 건설노동자 귀국…확진자 많을 것"

입력 2020-07-30 10:06

"고령자 조심하고 보호…선제 진단검사 적극 고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7일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중앙방역대책본부 영상 합동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7일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중앙방역대책본부 영상 합동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라크에 남아있던 건설 노동자 72명이 31일 민간 임시항공편으로 2차 귀국한다. 정부는 24일 1차 때와 마찬가지로 확진자가 상당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입국 후 진단과 치료에 힘쓰는 한편 국민들에게 지지와 응원을 부탁했다.

아울러 고령 확진 환자의 조기 치료를 위해 각 지방정부에 요양시설, 복지시설, 노숙인, 쪽방촌 등 고위험군에 대한 선제 진단검사 고려를 요청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 겸 보건복지부 장관은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1층 재난상황실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내일(31일) 이라크에 남아있는 우리 건설 근로자 중 72명이 추가로 귀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설 노동자들은 민간 임시항공편을 통해 31일 오전 9시30분께 인천공항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박 장관은 "지난주 귀국 당시와 같이 확진자가 상당히 많을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는 귀국 이후 진단과 치료 등 전 과정에 걸쳐 우리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4일 공군 공중급유기 2대로 1차 귀국한 건설 노동자 293명 중 29일 0시까지 7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음성 판정을 받은 216명은 임시생활시설에서 격리 생활 중이다.

이번 2차 귀국 노동자들도 1차 때와 같이 비행기 탑승 전 건강 상태를 확인해 유·무증상자의 좌석을 분리하고 입국 후 공항 내 별도 게이트를 통해 입국 검역을 실시한다. 유증상자는 인천공항에서 즉시 진단검사를 받고 무증상자는 임시생활시설로 이동해 검사가 진행된다.

확진 환자는 의료기관이나 생활치료센터로 이송되며 음성 판정이 나와도 임시생활시설에서 8월14일까지 2주간 시설 격리에 들어간다.

박 장관은 "고국으로 돌아온 우리 근로자들이 빨리 회복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들의 지지와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에 적극적인 선제 진단검사를 요청했다.

박 장관은 "국내 기준으로 30대 사망률은 0.7%이지만 70대는 9.5%, 80대는 25%로 뛴다. 소중하지 않은 생명은 없으나 연령이 높을수록 더 조심하고 보호해야 한다"면서 고위험군 대상 선제적 진단검사 수행 사례를 소개했다.

광주시는 확진자의 접촉자처럼 의무 조사 대상이 아닌 요양시설, 요양병원 입소자·종사자 등 3만여명을 대상으로 진단검사를 실시했다. 인천에서 노인복지시설과 산후조리원 등 고위험시설은 물론 노숙인, 쪽방촌에선 이동방역검진을 진행한 결과 검사 대상자 중 양성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박 장관은 "선제적인 진단검사는 무증상 감염자를 발견해 보호하고 추가 확산을 방지하고 지역 내 숨겨진 감염자를 찾아내 시민들의 우려를 덜어줄 수 있다"며 "다른 지자체에서도 고위험시설을 대상으로 한 선제적인 진단검사를 적극 고려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중대본 회의에선 거리 두기나 마스크 착용 등 생활 속에서 방역수칙이 준수될 수 있도록 도울 9만여개 생활방역일자리 활용 계획도 논의한다.

박 장관은 "학교, 직장, 공공시설, 대중교통 등 우리의 일상 곳곳에서 발열을 체크하고 기물을 소독하며 거리 두기와 마스크 착용을 확인하는 것은 지역사회를 보호하는 기본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코로나 장기화에 따라 이러한 기본이 끊이지 않고 지켜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오늘은 이러한 생활 속 방역 임무를 수행하는 생활방역일자리 9만여개의 활용 계획을 논의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3차 추가경정예산에 반영된 생활방역일자리를 활용해 기존 인력 중심으로 비상근무가 지속돼 피로가 쌓이고 필요한 곳에 인력을 충분히 투입하지 못한 의료기관, 보건소 등의 방역을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