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CXO연구소, 주요 대면(對面) 관련 업체 50곳 경영 실적 분석

이 중에서도 호텔, 공연·영화·예술 등을 포함한 엔터테인먼트, 항공, 여가·스포츠·오락 등이 포함된 레크레이션과 음식점, 여행 등이 포함한 업종의 피해가 컸다. 이들 업종에 있는 주요 50곳의 올 반기 매출 외형은 작년 동기 대비 평균 40% 넘게 쪼그라들었고, 6900억 원 넘던 영업이익도 1년새 1조 2200억 원 이상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가 ‘코로나 경제 위기 상황에 주요 대면 업체 50곳의 작년 반기 대비 올 동기간 경영 실적 비교 분석’에서 도출됐다고 13일 밝혔다. 교육(학원, 방문학습), 면세점, 전시·행사 업종 등도 대표적인 대면 산업군으로 포함되지만 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기업 수가 적어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조사 결과 이번에 조사된 코로나 정국에 소비자 대면 업종에 포함된 주요 50곳의 작년 상반기 매출액 규모는 19조 2258억 원이었다. 그러던 것이 올 동기간 매출 외형은 11조 2135억원으로 감소했다. 그새 41.7%에 해당하는 8조 124억원이나 되는 매출이 사라져 버린 셈이다. 업계 생태계에 큰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는 의미가 높다.
이들 업종 중에서도 ‘여행’ 관련 업체들의 피해가 심각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 대상 7개 주요 여행사들의 평균 매출액은 59.7%나 추락했다.
대표적으로 ‘자유투어’는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상반기에 169억 원 상당의 매출을 올렸지만 올 동기간에는 31억 원으로 81.4%나 매출이 고꾸라졌다. 하나투어(73.9%), 모두투어(71%), 롯데관광개발(68.8%), 세중(66.3%), 노란풍선 (55.9%로)도 1년새 매출이 반토막 넘게 폭삭 주저앉았다.
여가·스포츠·오락 등이 포함된 레크레이션과 음식점 업종에 포함된 11곳도 평균 51.4%나 매출 하락의 아픔을 맛봤다. 강원랜드는 작년 반기 때 7401억 원 상당의 매출을 기록했으나 올해는 2702억 원으로 63.5%(4699억원↓)나 매출이 하락했다. 파라다이스(-41.1%), 그랜드코리아레저(-40.5%)도 외형이 40% 넘게 감소했다.
레스토랑 등을 포함한 음식점 업체도 울상을 짓기는 마찬가지다. 대표적으로 450곳 이상의 음식점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보유한 코스닥 업체 디딤은 작년 상반기 때만 해도 매출이 600억 원 정도였지만 올해는 401억 원으로 33.2%나 빠졌다. 코로나19로 인해 외식 횟수가 줄어들다 보니 관련 업체들도 매출 하락을 피해가지 못한 것이다.
공연·영화·예술 등을 포함한 엔터테인먼트 업체 20곳도 평균 매출이 1년 새 48.1%나 증발했다. CJ CGV는 작년 상반기 매출은 5076억 원인데 올해는 1638억 원으로 67.7%(3437억 원↓)가 사라졌다. 키위미디어그룹은 작년 상반기에 167억 원 매출에서 올해는 15억 원으로 무려 90.7%나 대폭락했다. 에이스토리 역시 183억 원에서 44억 원으로 76%나 되는 매출 타격을 봤다.
주요 호텔 업체도 코로나에 정국에 매출이 평균 42.1%나 미끄러졌다. 대표적으로 호텔롯데는 2조 8048억 원에서 1조 5533억 원으로 44.6%(1조 2515억 원↓)나 매출 외형이 작아졌다. 아난티 코브 호텔을 비롯해 리조트 등을 운영하는 코스닥 기업 아난티 역시 작년 매출 363억 원에서 올 동기간에는 211억 원으로 41.8%(152억 원↓) 떨어졌다. 이외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 호텔을 운영하는 서주산업개발도 188억 원에서 111억 원으로 40.9%(77억 원↓) 정도 하락했다.
항공업체 6곳도 코로나로 인해 매출이 눈에 띄게 쪼그라 들었다. 항공 업체 6곳의 평균 매출은 38.7%나 하강했다. 대표적으로 진에어는 5040억 원에서 1671억 원으로 1년새 매출 덩치가 66.8%(3369억 원↓)나 줄었다. 에어부산(-64.6%), 제주항공(-62.5%), 티웨이항공(-58.9%)도 절반 넘게 매출은 저공비행을 했다. 항공 업계 맏형격인 대항항공도 33.3%((2조 189억 원↓)나 감소했고, 아시아나항공도 30%(9700억 원↓) 넘게 외형이 쪼개졌다.
매출 덩치만 감소한 것이 아니었다. 이들의 영업손익도 작년 상반기 때 흑자에서 올 동기간에 영업손실로 모두 후퇴했다. 항공 업체들의 작년 반기 때 영업이익 규모는 1008억 원 수준이었지만 올 동기간에는 4006억 원이나 영업적자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제주항공은 작년 반기 때 300억 원 올리던 영업이익이 올 동기간에는 1481억 원이나 영업손실을 보며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졌다.
엔터테인먼트 관련 업체들도 지난 해 상반기에 306억 원 올리던 영업이익은 올해는 1085억 원 손실로 바뀌어졌다. 특히 CJ CGV는 작년 반기 때 233억 원 영업흑자를 기록했으나 1년만에 1030억 원이나 되는 적자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레이레이션 및 음식점 업체도 같은 기간 2800억 원하던 영업이익이 2471억 원 적자로 뒷걸음질 쳤다. 여기에는 강원랜드 영업손익 하락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강원랜드는 지난 해 상반기만 해도 영업이익이 2986억 원이나 됐지만 올해는 거꾸로 2901억 원 영업손실을 봤다. 작년 반기 때 벌어들인 영업이익을 1년새 모두 잃어버린 셈이다.
여행과 호텔 업체도 큰 폭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여행 업체는 작년 상반기만 해도 419억 원 하던 영업이익은 올 동기간에는 493억 원 적자로 뒤집어졌고, 호텔 업체도 2378억 원 흑자에서 4162억 원 적자로 전환됐다.
이번 조사와 관련해 오일선 소장은 “항공, 호텔, 여행사 등이 포함된 심장(HEART) 업종은 매출 포지션 자체는 다소 작지만 코로나 시대에 경제 회복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바로미터와 같은 산업군에 속한다”며 “이들 산업이 언제부터 코로나 이전 상황으로 회복될 지를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