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HOME  >  산업

[국감] 한국, 최고 기술국 대비…차세대 항공 최저, 헬스케어·AI도 뒤처져

입력 2020-10-13 15:51

신정훈 의원 “전략적 투자로 국가경쟁력 강화 및 혁신성장 이끌어야”

[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한국의 산업기술수준이 선진국 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나 국가경쟁력 저하가 우려되는 만큼, 산업기술 혁신을 위한 R&D 투자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3일 신정훈 의원 (나주화순, 더불어민주당,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개 분야별 산업기술수준조사 결과 최고기술국 대비 한국의 기술수준이 가장 높은 분야는 일본 대비 97.6% 수준인 미래형 디스플레이로 나타났다. 이어 전기수소자동차는 일본 대비 87.7%, 스마트홈 미국 대비 86.7%, 첨단 소재 미국 대비 85.9%, 첨단제조공정·장비 유럽 대비 84.6% 순이었다.

반면, 기술 수준이 가장 낮은 분야는 차세대항공으로 미국 대비 70.9%로 기술격차기간이 무려 3.1년에 달했다. 그밖에도 디지털헬스케어 미국 대비 75.4%, 3D 프린팅 미국 대비 75.8%, 맞춤형 바이오진단·치료제품 미국 대비 76.1%, AI 빅데이터 미국 대비 76.2%로 기술 선진국에 뒤처져 있었다.

신정훈 의원은 “격변하는 산업구조에서 도태되지 않고 세계시장을 선점하려면 최고 기술국 대비 기술격차기간이 얼마 나지 않으면서도 수출 수요가 높고 성장세가 큰 산업 분야 R&D에 공격적 투자가 필요하다. 또한 산업기술의 낙후는 우리 기업, 더 나아가 대한민국 국가경쟁력과 직결되는 요소로써 대내외 경제 상황 및 산업 환경, 세계시장 추세, 국내 기술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R&D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정훈 의원은 “아울러 20개 기술분야 외에도 디지털, 비대면 및 친환경, 건강 등 포스코 코로나 시대 미래 수요를 창출한 핵심기술테마를 추가 발굴, 지원하여 급변하는 산업구조를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신정훈 의원실) 20개 분야별 산업기술수준조사 결과 (2019)
(사진=신정훈 의원실) 20개 분야별 산업기술수준조사 결과 (2019)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