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CJ대한통운, CJE&M, 스튜디오드래곤 등과 주식을 맞교환하는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이로써 네이버는 CJ대한통운의 지분 10~20%를 확보해 CJ대한통운(40.16%)에 이어 2대 주주에 오를 수 있게 된다. 양사는 이달 내에 이사회 승인을 거쳐 세부내용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네이버는 소핑·플랫폼·웹툰 분야에서, CJ그룹은 드라마(영화)·유통·물류 분야에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CJ대한통운은 국내 택배시장 1위 기업이다. 네이버 입장으로서는 스마트스토어에 입점한 업체들의 물류를 CJ대한통운이 맡게 된다. 네어버는 그동안 쿠팡 등 타플랫폼과 같이 자제적인 물류센터, 배송네트워크를 가지지 못했다. 네이버로서는 보다 빠른 배송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CJ대한통운은 수십만 개에 달하는 판매업체를 고객사로 확보하게 된다.
앞서 올해 초부터 물류분야에서 협력관계을 맺어왔다. 네이버는 지난 4월 CJ대한통운과 함께 LG생활건강 상품을 고객에게 24시간 내로 배송해주는 풀필먼트(일괄적인 물류 대행)서비스를 출범함 바 있다. 네이버 스토어에서 LG생활건강 상품을 주문하면 CJ대한통운 곤지암 메가허브 풀필먼트센터에서 상품이 출고돼 발송된다.
콘텐트 시장에서도 상호 간 지적재산권(IP)과 플랫폼 역량이 합쳐져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 CJ ENM(tvN)과 스튜디오드래곤을 통해 드라마·영화·음악 등 문화사업을 확대하는 CJ그룹은 네이버의 라인을 통해 자사가 만든 콘텐트를 일본과 동남아로 유통할 수 있다. 네이버는 이들 국가에 웹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역으로 네이버는 웹툰을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