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GM은 6일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 생산을 위해 예정됐던 부평공장 투자와 관련한 비용 집행을 보류하고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GM은 지난달 22일 열린 19차 임단협 교섭에서 트레일블레이저를 생산하는 부평1공장에 약 2150억원(1억9000만달러)을 투자하겠다고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는 이 제안을 거절하고 지난달 30일과 지난 2일 이틀간 부분 파업을 진행한데 이어 전날에도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이달 6, 9, 10일 등 3일간 전반조와 후반조 근로자가 4시간씩 부분 파업을 하기로 했다. 지난달 23일 시작한 잔업과 특근 거부도 이어간다.
사측은 최근 노조의 잔업·특근 거부와 부분 파업으로 7000대 이상의 생산 손실을 본 데 이어 이번 추가 쟁의행위 결정으로 누적 생산 손실이 1만2000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노조는 이번 임단협에서 기본급 월 12만304원 인상, 통상임금의 400%에 600만원을 더한 성과급(평균 2000만원 이상)지급과 부평2공장의 신차 생산 물량 배정 계획 등을 제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측은 지난달 21차 단체교섭에서 임금협상 주기를 1년에서 2년으로 변경하면서 조합원 1인당 성과급 등으로 총 700만원을 지급하는 방안을 최종 제시했다.
노조와 사측이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는 가운데, 업계 일부에서는 GM의 한국시장 철수설까지 나오고 있다.
노조는 오는 10일 오후 다시 쟁의대책위를 열고 후속 투쟁 지침을 정할 계획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