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부회장 양형 경감의 논란이 됐던 삼성준법감시위원회는 일단 당면한 일정들을 예정대로 진행하며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 경영진들은 조만간 긴급 사장단을 열고 이 부회장 구속에 따른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회장의 부재로 당면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플랜B’마련에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로 인해 인원은 최소화되거나 화상회의 방식이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투자와 같은 중대한 의사결정은 전문경영인이 총수 역할을 대신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먼저 이 부회장의 공백을 채울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부회장은 우선 ‘옥중 경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당면한 현안들은 이 부회장에게 직접 보고될 전망이다.
이 부회장은 대규모 투자나 M&A 등 굵직한 문제에 대한 판단은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7년 이 부회장이 옥중 경영을 할 당시 하만 인수 절차나 이미 투자계획이 있던 공장 증설 등 루틴한 의사결정만 가능했다.
이 밖에 이 부회장은 회사 업무외에 이건희 회장으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정리와 상속세 재원 마련을 옥중에서 해결해야 한다. 상속받은 일부 주식 매각과 같은 중요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기능은 종전과 같이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준법위는 이달 21일 각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과의 정기회의는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삼성전자 등 7개 관계사는 이번 공판에서 전문심리위원들이 지적했던 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만들어 지난달 28일 준법위에 제출했다.
21일 준법위 회의에서는 삼성전자 계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사업지원 TF의 감시강화 방안도 논의된다. 이미 삼성 측은 관련 개선안을 준법위에 제출한 상태다.
예전의 미래전략실이 해체된 후 관련 역할을 맡고 있다는 눈총을 받는 삼성지원 TF에도 큰 폭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18일 이 부회장의 양형 판단에 준법위의 활동을 평가 절하한 것도 ‘삼성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조직’에 대한 준법감시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돼 있지 않았다는 것이 이유 중 하나였다.
조직을 축소하거나 계열사 관련 업무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재정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사업지원 TF는 이 부회장의 역할을 대신할 창구가 되고, 계열사 현안 조율도 맡고 있다는 점에서 해제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come2kk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