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십견은 만성적 어깨 통증 및 운동 제한을 일으키는 흔한 어깨 질환으로 전체 인구의 약 2%에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주로 50세 전후 연령에서 나타난다고 하여 오십견이라 불리우기도 하며, 어깨가 얼음처럼 굳는다는 의미로 동결견이라고도 불리우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운동 부족 및 잘못된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해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고,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발생률이 약 4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오십견의 주요 증상으로는 어깨가 뻣뻣해지고 쑤시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면서 팔을 들어 올리기에 불편한 상태가 지속된다. 자칫 이를 방치할 경우 관절운동이 제한되는 후유증을 겪을 수 있어 조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다만, 또 다른 어깨 질환인 회전근개파열과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어깨 관절낭이 문제가 생긴 경우라면 오십견, 어깨를 둘러싼 근육과 힘줄에 문제가 생긴 경우라면 회전근개파열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두 질환은 통증을 유발하는 부위부터 다르기 때문에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게 중요하다.
이승주 이담외과 정형외과 원장은 "정상적인 어깨의 경우 MRI촬영 시 회전근개가 까맣게 나타나지만, 파열된 경우 하얗게 나타나게 된다"며 "회전근개파열의 경우 어깨 힘줄이 파열되어 가늘어지기 시작하면 시간이 흘러도 다시 힘줄의 두께가 두꺼워지기가 어려워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며, 무엇보다 방치할수록 증세가 심해져 수술로도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승주 원장은 "무엇보다 오십견이 아닌데 오십견으로, 오십견인 경우를 다른 질환으로 잘못 판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깨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