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지속적으로 어깨에 무리가 되는 잘못된 방식의 어깨 운동을 할 경우 어깨충돌증후군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때 염증으로 인해 점액낭이 붓고, 견봉이 아래로 돌출되어 어깨 관절에 다양한 기능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주요 증상은 팔을 들어올릴 때 어깨의 앞쪽이나 외측에 발생하는 통증이다. 이와 함께 손을 어깨보다 높게 들어올릴 경우 어깨에 이물감이나 삐걱거리는 연발음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자칫 장기간 방치할 경우 어깨에 근 위축이 발생하거나 힘줄 손상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이는 회전근개파열과 같은 이차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될 경우 빠르게 의료 기관을 방문해 정밀한 진단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권순억 가자연세병원 병원장은 “어깨충돌증후군 환자 대부분은 물리치료나 체외충격파 등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며 "그러나 이런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거나 재발이 심할 경우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견봉성형술과 같은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견봉성형술은 병변 부위에 미세한 절개를 통해 초소형 카메라와 특수기구를 삽입해 관절 내부 상태를 직접 확인하면서 문제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파열된 어깨 힘줄 주변을 다듬고 봉합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어깨충돌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무리한 어깨 운동은 피하고, 적절한 휴식을 통해 어깨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운동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 및 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