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허리디스크 환자의 경우 이런 날씨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해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이를 단순히 날씨 탓이라고 여겨 방치하게 되면 증상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허리디스크라 불리는 추간판탈출증은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척추질환이다. 이는 척추 뼈와 뼈 사이의 구조물인 디스크(추간판)이 탈출된 증상을 말하는데, 여기서 추간판은 탄력성이 뛰어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키고 딱딱한 뼈끼리 직접 부딪치는 것을 막아주는 등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추간판이 제자리에서 밀려나게 되면 주변 신경을 압박해 요통 및 신경통증을 일으킨다.
허리디스크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가 저린 방사통이다. 특히 허리를 굽히거나 움직이는 등의 동작에서 통증이 더 심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심한 경우 대소변 장애나 다리에 감각 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김혁준 신촌연세병원 신경외과 과장은 “대부분 허리디스크 치료라고 하면 무조건 수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막연한 부담감을 갖는 경우가 많지만, 초기 디스크의 경우 운동과 도수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법으로 충분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며 "하지만 계속된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 신경차단술과 신경성형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경차단술은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 주변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법이다. 신경성형술은 척추의 꼬리뼈 부분을 국소 마취한 후 중추신경과 신경 가지에 생긴 염증 유발 물질과의 유착을 제거하고 약재를 주입하는 시술이다. 두 치료법 모두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 부분의 압박을 풀어주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졌다.
김혁준 과장은 “척추질환 수술이 부담스럽거나 빠른 일상 복귀가 필요한 경우라면 신경차단술이나 신경성형술을 진행해볼 수 있다”며 “이는 비교적 간단한 시술이지만 문제가 되는 병변에 정확하게 약물을 투여해야 하므로 풍부한 치료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전문의에게 시술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평소 허리디스크 예방 및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수영이나 걷기 등 코어근육을 강화하는 운동과 함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장시간 앉아있는 경우 틈틈이 허리를 좌우로 움직여 허리의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