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보호하는 연골이 여러 요인에 의해 점차 마모되고손상을 입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최근에는 장년층뿐 아니라 격한 운동을 즐기거나 몸을 많이쓰는 직종의 젊은 층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추세다.
단순 무릎 통증으로 간주하다가는 다양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초반에는 경미한 통증으로 시작되지만 점차 심해질 뿐만 아니라 관절 변형, 보행 장애까지초래할 수 있다. 심한 경우엔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아픔을 느끼기도 한다.
따라서 증상이 의심된다면 그 즉시 병원을 방문해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만일계단이나 언덕을 오르내리는 운동이 힘들거나 무릎 사이가 벌어지고 휘어지면서 다리가 0자 형태로 변형된다면질환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초기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관절 변형 정도가 심하고 통증이 심하다면 인공관절치환술과 같은 적극적인 방법을 고려해봐야 한다.
이는 손상된 관절을 개인에게 맞는 새로운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이다. 대체로무릎을 통째로 바꾸는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는 편이지만 무릎 관절 연골이 일부만 닳아 있을 경우 선택적으로 인공관절을 적용하는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을시행할 수 있다.
치료 후에는 꾸준한 관리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의료진의 자문을 구해 적절한 운동법을 숙지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장시간 운동보다는짧은 시간 부드러운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경직된 근육, 인대를 풀어주는 것이 좋다.
도움말: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권순억 병원장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