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지럼증은 자신 또는 주변 사물들이 정지해 있음에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증상을 말한다. 흔히 천장이 빙글빙글 도는 것 같다는 증상을 호소하며 움직이거나 고개를 흔들면 증상이 더 심해진다.
이렇게 빙글빙글 돌아가는 듯한 증상을 현훈이라고 한다. 현훈은 크게 말초성 어지럼증과 중추성 어지럼증으로 나눌 수 있다. 말초성 어지럼증의 경우 안진 검사를, 중추성 어지럼증의 경우에는 뇌실질 MRI, 뇌혈관 MRA 등 정밀검사를 통해 어지럼증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말초성 어지럼증은 신체의 균형을 유지해주는 전정기관 또는 전정신경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대표적인 질환으로 이석증,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등이 있다. 귀의 가장 안쪽에 있는 이석이 원래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몸의 회전을 담당하는 세반고리관으로 잘못 들어가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중추성 어지럼증은 뇌질환에 의한 증상일 수 있다. 대부분 뇌경색, 뇌출혈, 뇌종양, 편두통 등에 의해 발생된다. 안면마비, 팔다리 위약감 혹은 감각이상, 균형장애, 심한 두통과 같은 뇌신경 관련 증상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가 늦어질수록 사망률이 높아지며 치료 후에도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광명21세기병원 신종화 원장은 “어지럼증은 생각보다 흔한 증상으로 어지럼증은 특정 나이,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나 한번쯤 겪을 수 있다"며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에 따라 뇌에서 보내는 위험 신호일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