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일부개편, 총 50여명 인적 쇄신
총원 文정부 靑보다 10% 가량 적어
근무 기간·근태·적합성 다각도 평가
"특정 계파 퇴출 정치적 목적 아냐"
행정관 실무 위주 쇄신 지적 나와
'기회주지만 보장 못해" 盧발언 인용
고위관계자 "누구든지, 언제든 쇄신"
50여명 이상의 중폭 개편으로, 문재인 정부 청와대보다 약 10% 이상 총원이 줄었다.
이번 인사 작업은 대통령실이 국민에 최선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능률을 올리는 데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대통령실은 특히 특정 계파를 정리하거나 대통령실 슬림화 목표 등 정치적 목적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논란 차단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김대기 비서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디지털소통비서관을 홍보수석실 산하로 옮기고 홍보수석실에 해외홍보비서관(외신대변인 겸직)을 신설했다. 또 종교다문화비서관은 사회공감비서관으로 이름을 바꿨다.

정무1 2, 국민제안, 시민소통비서관을 새로 임명했으며 신설된 사회공감비서관도 지명하는 등 인사도 이뤄졌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발표한 인적 조직 개편 외에 행정관 이하 실무진 등 50여명이 교체됐다고 한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와 비교해 10%정도 인원이 줄어들었다.
다만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50명은 퇴출 뿐 아니라 교체와 재배치 인력까지 포함한 수치라고 한다.
이번 인적 개편은 배치된 수석실에서 맡은 역할이 '적재적소'에 기능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췄다는 게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의 전언이다.
이 고위 관계자는 이번 인적 쇄신 기준에 대해 "100일이 지나 업무기술서를 받아 어느 부서에 누가 일하는 게 맞는지를 일단 진단을 했고, 근무기간, 근태는 주어진 역할에 적재적소의 기능을 하는지 등을 다각도로 봤다"고 설명했다.
이어 "혹자는 목표를 정해놓고 누굴를 뭐했다(잘랐다)는데 인적쇄신은 정치적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라 비서실이 어떻게 하면 더 능률적으로 움직여 국민에 서비스하는 최선의 공공 서비스를 할 수 있나 하는데 초점이 맞춰졌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최근 비서관급 이하 행정관 퇴출이 잇따르면서 수석급은 두고 실무진 위주로 쇄신하는 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지적에 대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여러분에게 기회는 줄 수 있지만 보장은 해줄 수 없다'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언을 들어 임용 기회나 퇴출 가능성은 모두에게 열려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