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HOME  >  정책·지자체

'남북 경색' 경기도 남북 농업지원 사업 타격

입력 2022-10-14 19:15

북한에 쌀 보낸다는 '평화경작지' 추진 난항

[비욘드포스트 김형운 기자] 경기도가 남북 경제협력 차원에서 추진한 '평화경작지' 조성사업이 잇단 북한 미사일 도발 등 남북관계 경색국면에 남북 농업지원사업이 타격을 입고 있다.

평화경작지에서 생산된 쌀로 대북 인도적 지원에 나서며 남북 경제협력 물꼬를 튼다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사업 추진 2년째 지원사업은 추진조차 못 하고 있다.

14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부터 연천군 왕징면 강내리 군남댐 홍수조절지 일원 9만4천623㎡에서 '평화경작지'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평화경작지는 도 평화농장(5만5천961㎡) 연천군 평화농장(3만8천662㎡)으로 나누어진다. 북한의 관심사인 농업분야에서 새로운 경제협력 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경기도는 지난해부터 연천군 왕징면 강내리 군남댐 홍수조절지 일원 9만4천623㎡에서 '평화경작지'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평화경작지의 모습.(사진=경기도)
경기도는 지난해부터 연천군 왕징면 강내리 군남댐 홍수조절지 일원 9만4천623㎡에서 '평화경작지'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평화경작지의 모습.(사진=경기도)


평화경작지에서 벼를 생산하고 여기서 나온 수확물을 대북 인도적 지원 등에 사용한다는 취지다.

이 사업은 경기도 농정해양국이 사업을 총괄하며 도 평화협력국, 도 농업기술원, 연천군 등이 함께 추진한다.

경기도에서는 해당 부지 관리와 대북지원 부분을 맡으며 연천군에서 직접 사업을 수행하거나 공모를 통해 위탁관리를 맡고 있다.

도는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도비 4천만원을 투입했고 이달 중으로 쌀을 수확한다.

그러나 지난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사실상 남북 교류 창구는 닫혔고 최근에는 북한 미사일 위협이 잇따르면서 남북관계는 경색되고 있다.

이에 평화경작지에서 생산된 쌀을 북한에 보낸다는 취지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졌고 언제 가능할지도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해 평화경작지에서 19t이 넘는 쌀을 수확해 발생한 수익금 약 4천141만원에서 철새 먹이용, 운영경비 등 일부 비용을 제외하고 나머지(약 1천900만원)는 모두 기금에 적립한 바 있다. 올해 수익금의 사용처도 별반 다르지 않다.

그렇다고 사업을 중단하기도 쉽지 않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사업을 중단했다가 남북관계가 회복되면 다시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금보다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추진 2년째인 평화경작지 조성사업이 어려운 이유다.

도 관계자는 "남북 경제협력이라는 취지로 사업을 시작했지만, 예상보다 현재 남북관계 국면이 경색됐고 남북이 함께 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운 건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도 입장에서는 많은 예산을 쓰지 않더라도 평화경작지를 통해 북한에서 생산할 수 있는 품종 연구 등도 가능해 현재 부지 기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