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많은 현대인들이 바쁜 일상 속에 치과 방문을 미루거나, 초기 증상이 미미하다고 생각해 치료를 간과하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다. 하지만 치주질환은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방치할 경우 잇몸 염증, 출혈, 그리고 심각한 경우에는 치아의 흔들림과 상실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치주질환은 크게 잇몸 표면의 연조직에만 염증이 생기는 치은염과 잇몸 아래쪽으로 염증이 번지며 치주인대나 주변의 골조직까지 손상된 상태인 치주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치은염 단계에서의 치료는 스케일링만 잘 해주어도 금방 회복할 수 있다. 반면 입냄새가 심해지고 치아와 잇몸 사이에서 고름이 나오거나 씹을 때 불편한 느낌이 나타나는 치주염 상태에서는 스케일링만으로 염증을 제거하기 힘들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신경치료나 치주수술 이 요구될수 있다.
특히 치조골, 즉 잇몸뼈까지 손상된 치주질환 치료를 위해 절제한 잇몸 조직은 자연 치유가 쉽지 않다. 이때 미세현미경을 사용해 가느다란 신경가닥을 하나하나 찾아내 염증과 세균을 제거한 뒤 치아 조직의 생성과 재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백악질의 형성을 촉진하는 법랑기질단백질을 재현한 엠도게인을 도포하면 잇몸뼈와 주변 조직 회복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안연실 노원 강북예치과 원장은 “치주질환은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이미 진행된 상태라고 해서 치아를 섣불리 포기하기 보다는 정밀 장비와 치료법을 갖추고 있는 숙련된 의료진을 통해 자연치아를 살리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