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개 정수기 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지난 3월 30일부터 4월 30일까지의 정수기 브랜드 빅데이터 9,223,79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행동분석을 했다.
2020년 기준 국내 정수기 시장 규모는 3조원대로 추산된다. 정수기는 1940년대 미 해군에 의해 개발된 것이 시초이며,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 첫 상품화된 이래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정수기 시장은 역삼투압과 직수형 제품으로 양분된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정수기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소비자와 브랜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계분석으로 측정된다.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브랜드평판 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2025년 4월 정수기 브랜드평판 순위는 코웨이, LG전자, 브리타, SK매직, 삼성전자, 청호나이스, 웰스, 퓨리얼, 세스코, 현대큐밍, 위닉스, 필립스, 워터피아, 아쿠아, 3M, 파라곤, 에버퓨어, 카타딘, 컬리건, 라이카 정수기 순으로 나타났다.
정수기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코웨이 정수기 브랜드는 참여지수 1,024,220 소통지수 875,920 커뮤니티지수 543,87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444,018로 분석됐다. 지난 2024년 2월 브랜드평판지수 1,761,892과 비교해보면 38.72% 상승했다.
2위, LG전자 정수기 브랜드는 참여지수 457,567 소통지수 393,924 커뮤니티지수 596,49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47,989로 분석됐다. 지난 2024년 2월 브랜드평판지수 1,609,112와 비교해보면 10.01% 하락했다.
3위, 브리타 정수기 브랜드는 참여지수 539,752 소통지수 520,872 커뮤니티지수 212,72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73,352로 분석됐다. 지난 2024년 2월 브랜드평판지수 1,383,578과 비교해보면 7.97%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5년 4월 정수기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코웨이 정수기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코웨이 브랜드는 아이콘 정수기, AIS 정수기 3.0 아이오케어(IoCare)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한 혁신적인 정수기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라고 브랜드 분석했다.
이어 "2025년 4월 정수기 브랜드 카테고리 빅데이터 분석을 해보니 지난 2024년 2월 정수기 브랜드 빅데이터 8,769,983개와 비교하면 5.17%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4.11% 하락, 브랜드소통 21.60% 상승, 브랜드확산 15.63%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