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포함한 자본재 수출, 전년 동기대비 11.2% 증가...대미 수출액, 3.9% 감소하며 2분기 연속 마이너스 흐름

국가데이터처가 10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결과(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수출액은 185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한미 관세 협상이 끝나지 않아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었지만, 반도체 수출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고 밝혔다.
수출 기업 수는 4.5% 늘어난 6만9천808개였다.
재화 성질별로 보면, 반도체가 주를 이루는 자본재 수출액이 11.2% 늘어 11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치다.
자동차가 중심이 되는 소비재는 4분기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4.9% 증가한 239억 달러로 집계됐다. 미·중 수출은 줄었으나 유럽에는 전기차 수출, 독립국가연합(CIS)에는 중고차 수출이 각각 늘었다고 데이터처는 설명했다.
원자재 수출액은 화학공업제품, 섬유류, 철강 및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1.9% 줄어든 500억 달러를 기록했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수출액은 5.1% 증가한 1223억 달러를 기록하며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 대기업 수출은 원자재와 소비재에서 줄었지만, 자본재에서 늘어난 영향이 컸다.
중견기업은 자본재·소비재·원자재 수출이 고루 늘어 7.0% 증가한 323억 달러였다. 역시 역대 최대 수출액이다.
대기업은 반도체, 중견기업은 반도체 부품·장비 수출 증가의 영향이 크다는 게 데이터처의 설명이다.
한편 대미 수출액은 3.9% 감소한 293억달러로, 2023년 3분기(283억달러) 이후 처음으로 300억 달러를 밑돌았다. 3분기 연속 마이너스 흐름이다.
3분기 수입액은 1천624억달러로 1년 전보다 1.5% 늘었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