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남영역 삼각지역 한강로동축 용산역 용산전자상가 등 지역 특성에 맞춰 규제 완화할 방침

서울시는 지난 12일 제18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 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용산구는 1995년 처음 지구단위계획구역이 지정된 이래 330만∼350만㎡ 규모로 서울시 최대 규모 지구단위계획구역이다.
규모가 지나치게 커 여건 변화를 반영한 계획 정비에 오랜 기간이 걸리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구역을 6개 구역으로 쪼갰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6개 구역은 ▲ 서울역 일대(71만㎡) ▲ 남영역 일대(36만㎡) ▲ 삼각지역 일대(73만㎡) ▲ 한강로 동측(40만㎡) ▲ 용산역 일대(105만㎡) ▲ 용산전자상가(12만㎡) 등이다.
광화문∼서울역∼용산∼한강을 잇는 국가 상징 거리로 계획 중인 한강대로 일대는 최고 높이를 100m에서 120m로 완화하고 사업계획과 지역 특성에 따라 추가로 높이를 완화해줄 계획이다.
서울역 일대는 국제관문 위상에 대응하는 공간으로 개조하고 남산으로의 보행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남영역 일대는 한강대로 업무 축으로 육성한다.
삼각지역 일대는 용산공원과 가깝고 중저층 건물이 많다는 특성을 고려해 도시 정비를 유도하고, 한강로 동측에는 주거·업무·녹지 공간을 조성한다.
용산역 일대는 국제업무 기능을 기반으로 서울의 미래 성장을 견인하는 거점으로, 용산전자상가는 AI·ICT 등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만든다는 방향성을 담았다.
대규모 개발을 고려해 지정한 특별 계획구역은 59개소에서 68개소로 변경할 계획이다.
용산전자상가 일대 등 총 9개의 특별계획구역을 신규 지정해 전략적 개발을 유도한다.
용산전자상가 일대는 이번 구역 신설에 따라 총 11개 특별계획구역이 지정돼 AI 등 신산업 혁신거점 조성과 관련한 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용산전자상가 일대는 11개 특별계획구역 중 8개 구역이 세부 개발계획 수립 등 절차를 밟고 있다.
용산우체국 주변 등 2개 특별 계획구역은 주민 의사를 고려해 구역을 해제하고 개별 필지별 건축을 허용할 예정이다.
'용리단길'로 활성화된 용산우체국 주변은 옛 가로조직을 보존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중·소규모 건축을 유도한다.
민원을 초래한 공동개발 지정계획은 전면 해제하는 등 규제는 완화한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