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2024.09.19(목)
녹색금융 넘어선 ‘전환금융’의 부상
[비욘드포스트 조동석 기자]
탄소다배출 기업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하는 ‘전환금융(Transition Financ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은행 계열 금융회사뿐만 아니라 사모펀드도 급부상하는 전환금융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여기며 내부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전환펀드 등을 출시하며 기후전환에 적극 동참하는 추세이다.

성공적인 전환금융을 위해서는 정부, 기업, 금융회사의 적절한 역할 수행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도 전환금융 시장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민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최희재 수석연구원의 ‘녹색금융을 넘어선 ‘전환금융’의 부상‘ 보고서에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위해 저탄소 방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인 ‘기후전환(Climate Transition)’에 약 125조 달러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 ‘녹색금융’에 포함되기 어려운 고탄소배출 기업의 친환경 전환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는 ‘전환금융(Transition Finance)’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는 추세다.

‘전환금융’은 탄소집약적 산업이 저탄소 운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자금을 제공하는 새로운 기후금융 기법으로 기존 친환경 기업 지원 중심의 '녹색금융'과는 차별화된다.

전 세계적으로 2030년까지 55조 달러의 전환금융 수요가 전망되는 가운데 아직 41조 달러의 투자 기회가 남아있어 금융기업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 중이다.

보고서는 정부가 공공·민간 기관 간 협력이 가능한 전환금융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세금·이자 혜택, 보조금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구체적이고 중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금융사는 전환금융 전담 조직을 신설하여 내부적인 저탄소 전략 심사 및 전환대출·채권 리스크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정부의 금융지원 정책·자금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안한다.

기업은 기후관련 전문 금융기관의 컨설팅 등을 통해 구체적인 전환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국내선 2030년까지 1,000조원 규모의 전환금융 수요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전환금융 관련 정책 및 가이드라인이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BCG는 국내 ‘전환금융’의 절반 이상이 은행 대출 형태로 공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 전환금융 도입을 위해 기후금융특별법을 발의하는 등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융회사는 전환금융을 ‘기업금융 강화’ 기회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최 수석연구원은 “금융회사는 단순 대출을 제공하고 절차를 마무리하는 것이 아니라 대출 조건으로 기업에게 탄소 감축을 요청하는 등 대출 과정 전후에 더 많이 개입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