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지수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급락 영향 등으로 2% 가까이 떨어지고 있다. 뉴욕증시 3대 선물지수가 일제히 약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이번 주에 예정된 AMD 우버 스포티파이 수퍼마이크로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에 대한 불안감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4일 코스피지수는 상승 출발했으나 이후 외인과 기관의 매도 영향으로 오후 1시 50분 현재 전거래일보다 2% (84포인트) 넘게 하락하며 4130선까지 밀리고 있다.이 시간 현재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8500억원, 기관은 4900억원 가까이 매도중이다.특히 코스피지수 상승을 이끌었던 삼성전자가 7.8%, SK하이닉스는 5.5% 넘게 급락 중이다. 외국인은 SK하이닉스를 1조15
가상화폐 시가총액 1, 2위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이더리움 대규모 해킹 사태 영향으로 급락하고 있다.3일(현지시간)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오후 8시(동부기준) 이더리움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6.4% 급락한 3618.5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7% 넘게 급락하기도 했다.비트코인 가격도 3% 가까이 떨어지면 개당 10만6573달러까지 미끌어 졌다.이더리움 가격은 8월 24일 종전 최고가 대비 28% 가까이 하락한 상황이다.이날 이더리움 급락은 가상화폐 프로토콜 '밸런서'가 해킹 공격을 받아 1억 달러(약 1435억원) 이상의 디지털 자산이 유출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밸런서는 중앙 기관 없이 이용자를 직접 연결하는 '피어 투 피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10월 고물가 기록은 농산물과 여행 서비스 가격이 높아 일시적으로 상항한 것이라며 연말 연초에는 다시 2% 내외로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국가데이터처는 4일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17.42(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4%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에 이어 2개월 연속 2%를 넘어섰다. 해외단체여행비, 숙박료, 미용료 등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가 3.6% 올라 전체 물가를 0.72%포인트(p)를 끌어올렸다.10월 긴 추석 연휴에 해외단체여행비, 승용차 임대료, 콘도 등 여행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업체로 오픈AI의 경쟁사인 팔란티어가 3분기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로 3% 넘게 상승했다.3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 인베스팅닷컴 등에 따르면 팔란티어의 3분기 매출액이 사상 최고인 11억8만 달러(약 1조7000억원)를 기록했으며 주당순이익(EPS)은 21센트로 집계됐다고 밝혔다.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3% 성장한 가운데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10억9000만 달러를 상회했다.EPS도 시장 전망치보다 0.17센트보다 높았다.이같은 호실적에 팔란티어 주가는 이날 뉴욕증시에서 3.4% 상승한 208.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총도 4900억달러(700조원)를 넘어서며 삼성전자 시총(657조원)보다 많았다.주
1년 넘게 중단됐던 미국 등 해외주식 주간거래가 4일부터 재개된다.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증권사 18곳은 이날부터 해외주식 주간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해외주식 주간거래 서비스는 국내 투자자가 한국의 낮 시간대인 오전 9시∼오후 5시까지 미국 주식을 거래하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그동안 약 1년 2개월동안 중단돼 왔다. 해외주식 주간거래는 지난해 8월 5일 글로벌 증시가 요동쳤던 '블랙먼데이' 당시 한국에서 주간거래 처리 업무를 독점했던 미국 현지 대체거래소(ATS) 블루오션이 접수된 주문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것이 서비스 중단의 발단이 됐다.이후 업계는 재발 우려를 감안해 같은 달 16일부터 해당 서비스를 동시에 중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인 GPU의 중동 수출 길이 열린 영향으로 반도체주들이 일제히 상승했다.3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MS)는 아랍에미레이트(UAE)에 2029년까지 79억달러 이상을 인공지능(AI) 관련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엔비디아 주가가 2.17% 상승했다. 시총은 다시 5조달러를 돌파했다.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0.59% 오른 것을 비롯해 마이크론 4.88%, 대만 TSMC는 1.47% 올랐다. 빅테크주들은 혼조세로 마감했다. MS의 중동 투자 소식에도 약보합세로 마감했고 애플도 0.5% 하락 마감했다. 하지만 테슬라는 2.6%, 구글 0.82% 올랐다.아마존은 오픈AI와의 대규모 계약이 주가를 부양했다. MS 제품 의무 사용 계약이 끝난 아마
국민연금의 주식 투자 비중에서 해외 주식 비중이 국내 주식의 두 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민연금 기금의 운용 현황에 따르면 1322조원(8월말 기준)에 달하는 적립금 중 국내 및 해외 주식 투자 금액은 51.6%로 처음으로 주식 비중이 절반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국민연금의 자금 운용은 위험을 줄이기 위해 예금 적금(채권) 비중이 높았지만 수익이 높은 펀드(주식) 비중을 높이는 적극적인 방향으로 전환됐다는 의미를 지닌다.주식 투자 비중에서 국내주식 비중은 14.8%인 반면 해외 주식은 36.8%에 달해 서학개미들처럼 미장 투자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유형별로도 해외주식 비중이 국내채권(24.6%)보다도 10%포인트 넘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한국에 GPU(그래픽처리장치) 26만장을 우선 공급키로 함으로써 'AI 3대 강국'으로의 도약에 청신호가 켜졌다. CEO(최고경영자·사진)가 GPU(그래픽처리장치) 26만장 공급을 약속했다. 이는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재계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2030년까지 한국에 공급하기로 한 GPU 26만장 중 약 5만장은 공공부문에 배분한다. 나머지는 삼성, SK, 현대자동차그룹(각 5만장), 네이버클라우드(6만장) 등 산업계의 몫이다. 정부의 당초 2030년까지 20만장 확보를 목표로 세웠다. 테슬라가 현재 엔비디아 H100 12만장을 보유한 점을 감안하면 GPU 26만장 보유는 컴퓨팅 파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지난 6월 이후 사전 예고된 자사주 매도를 10억달러(1조4330억원) 넘게 완료한 것으로 집계됐다.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 달 31일(현지시간) 엔비디아 주식 2만5000주를 매도함으로써 올해에 6백만주 넘게 자사주 매도를 완료했다고 분석했다.황 CEO는 지난 6월 하순 8억6500만달러에 달한는 자사주를 매도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사이 엔비디아 주가가 40% 넘게 상승하면서 올해 자사주 매도 금액이 10억달러를 웃돌았다는 것이다.블룸버그통신 억만장자 인덱스에 따르면 황 CEO의 보유 자산가치는 1757억달러로 전세계에서 억만장자 '9위'에 해당된다고 보도했다.그는 2001년 이래로 엔비디아 주식 29억
한국과 중국은 1일 경주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양국 중앙은행이 5년 만기 70조 원(4000억 위안) 규모의 '원-위안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됐다.대통령실은 이날 "통화스와프 체결로 양국 금융·외환 시장의 안정과 교역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아울러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서비스·투자 협상의 실질적 진전을 통한 양국 간 경제 협력의 제도적 기반 마련을 뒷받침하는 '서비스무역 교류·협력 강화에 관한 MOU'도 맺었다.양국 국민의 민생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미래지향적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 위한 '실버산업' 및 '혁신창업' 분야의 협력에 관한 각각의 MOU와, 한국 농산물의 중국 수출을 원활히 하는 '중국 수
美연준의 일부 위원들이 매파적 발언을 쏟아내면서 12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물건너가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3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야후파이낸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달 FOMC 회의에서 금리동결에 투표한 이유에 대해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고 확산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된다"며 "2% 물가상승률 목표에 대한 연준의 확고한 의지가 의심받게 된다면 금리인하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또한 "10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25bp 인하돼선 안 됐었다"며 "12월에도 금리를 내려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인플레이션이 목표치 2%를
美연준 일부 의원들의 매파 발언 영향으로 반도체주와 빅테크주들이 혼조세로 마감했다.3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전날 시총 5조달러 밑으로 하락했던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도 전거래일보다 0.18% 소폭 떨어졌다.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0.18% 올랐지만 마이크론은 약보합, 대만 TSMC는 0.92% 떨어졌다.빅테크주들 가운데 전날 클라우드 부문인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전년 대비 20%의 매출 성장을 이룬 아마존이 9.58% 급등했다. 테슬라도 전거래일보다 3.74% 반등했다.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2022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며 "AI와 핵심 인프라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경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마이크로
엔비디아의 파격적 결정으로 정부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장 확보를 조기에 달성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엔비디아와 국내 AI 대표 기업 간 상호 협력 추진의 일환으로 GPU 총 26만 장, 이 중 공공 부문에 5만 장을 공급받는다고 밝혔다. 5만 장은 네이버·LG AI연구원·SK텔레콤·NC AI·업스테이지가 개발 중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과 삼성SDS 컨소시엄 참여가 유력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에 우선 쓰일 예정이다. 각각 GPU 집중 지원으로 글로벌 빅테크에 맞먹는 AI 모델과 GPU 최대 5만 장 규모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이같은 소식에 힘입어 네이버가 5%, 삼성SDS가 9.6% 등 관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