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는 일본 각의 결정이 카운트다운에 사실상 돌입한 가운데 이에 대한 맞대응 조치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것.
지소미아 뜻 키워드가 이 시간 현재 인스타그램과 트윗 등을 강타하며 일본 사회를 뒤흔들고 있는 까닭이다.
하지만 지소미아 파기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보수진영으로부터 나오면서 '일본 눈치보기'가 심각하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역공 카드'인 지소미아 파기를 거론한 것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강경 대응'으로 일단 풀이된다.
강경화 장관은 1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회담 직후 "내일(2일) 각의에서 결정이 나온다면 우리로서도 필요한 대응 조치를 강구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각의 결정이 강행된다면 대응 차원에서 지소미아를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일본 측에 통보한 걸로 추정된다
하지만 지소미아 파기 입장에서 일본 고노 다로 외무상은 '안보 협력은 계속하자'는 취지로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로남불적 발상으로 여전히 한국 정부를 무시하는 일본 주류 사회의 성격이 그대로 드러난 셈.
지소미아 파기는 한일전에서 우리 정부가 취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지소미아 카드에 움찔한 일본 정부가 화이트리스트 배제 카드를 철회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