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박명진 기자] 19일 방송된 ‘달리는 조사관'(연출 김용수, 극본 백정철, 제작 스튜디오드래곤, 데이드림 엔터테인먼트) 2회에서는 진실 공방이 첨예하게 오갔던 성추행 사건의 전모가 드러났다.
강윤오(권해성 분)를 죽음으로 몰고 간 불법사찰과 외압 사실을 세상에 알리려는 허위 진정이었던 것.
마지막 순간까지 진실 규명을 위해 분투한 한윤서(이요원 분)와 배홍태(최귀화 분)가 성추행 사건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밝혀냈지만, 씁쓸한 현실은 깊은 여운을 안겼다.
단 2회 만에 드라마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그 진가를 시청자들에게 확실하게 보여주며 호평을 이끌어냈다.
다음날, 윤서는 피의자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성추행 인정한 통화기록 있다는 거, 아무말이나 한 것, 소지혜가 유도심문한 것에 넘어갔다"면서 억울해했다.
윤서는 "의원님이 잘 판단할 것"이라 했으나 그는 "사람하나 성추행범 만드는 거 참쉽다"면서 "같이 간 건물과 목격자 확인도 했다, 그 건물 지하1층에 일하는 분 찾아가 그 날 무슨이 있었는지 알아내라, 그러면 많은 것이 변할 것"이라며 주소를 알렸다.
두 사람은 각자의 방법으로 진실 규명에 힘썼다.
한윤서는 최종심의까지 얼마 남지 않은 시간에도 확실한 증거를 찾기 위해 움직였다.
우여곡절 끝에 이은율이 말한 목격자 박만심(민경옥 분)을 찾은 한윤서는 제 3자의 존재와 사건의 정황을 알게 됐다.
이은율이 주고 갔다는 서류를 전달받았다.
배홍태는 전직 검찰다운 예리한 촉으로 ‘강윤오 명예훼손’ 사건의 전말을 파헤쳤다.
사건을 담당했던 동료 검사의 사무실에 몰래 숨어들어 증거를 찾는가 하면, 소지혜가 위험에 처했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긴박한 순간에 그를 구했다.
모든 사실을 알게 된 한윤서는 혼란스러웠다.
비공개 심의를 결정한 안경숙 위원장에게 “우리 모두의 인권과 관련된 일”이라며 공개로 전환할 것을 설득했다.
누군가의 인생이 바뀔 수도 있는 심의 결과 자리. 무엇하나 쉽게 결정할 수는 없었다.
최종 보고를 앞둔 그 순간까지도 합리적으로 회의를 중지시키고 사건을 기각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한윤서였다.
누구보다 원칙과 팩트를 우선시하고 중립을 지켜왔기에 고민은 깊어졌다.
한윤서는 발견된 사실을 세상에 알리는 것도 조사관이 하는 일이라고 다짐했다.
엔딩에서 “보고에 앞서 본 진정의 명칭을 ‘공권력을 동원한 노조원 불법사찰과 외압’으로 변경하겠다”고 말해 뭉클함을 자아냈다.
게다가 의문의 남성들로부터 계속적으로 위협을 받았다고 전했다.
가족까지 피해를 받았다고 했다.
결국 그는 자살을 택하며 생을 마감했다.
소지혜는 "죽은 윤호씨가 보낸 택배를 받았다"면서 "우릴 보호해 줄 사람이 없으면 우릴 먼저 먹잇감으로 내놓고 우리 입 앞에 카메라를 내놔야했다"면서 "허위 진정으로 책임졍할 일은 제가 책임지겠다"고 했다.
기소권도 수사권도 없는 인권조사관들의 고군분투는 공감대를 높이며 시청자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성추행 사건은 비록 거짓이었지만, 소지혜와 이은율이 목숨을 걸고서라도 세상에 알리고 싶었던 진실은 씁쓸한 현실이었다.
“세상은 바뀌었다고 하지만, 우리는 바뀐 게 없으니까요”라는 그들의 호소는 깊은 여운을 안겼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 한윤서와 배홍태의 활약도 흥미로웠다.
“국민은 인권을 보호받을 권리가 있고 국가는 인권을 지켜줄 의무가 있다. 이 사건을 전하지 않으면 인권증진위원회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는 것”이라는 한윤서의 소신은 쉽게 지나쳐왔던 ‘인권’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보게 만들었다.
jbd@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