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HOME  >  산업

대한·아시아나 하늘길 더 연다…코로나19 활로 개척하나?

입력 2020-06-17 16:51

화물공급 확대 계산
팬데믹 진행…시간필요

(사진=대한항공)
(사진=대한항공)
[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막혔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하늘길을 내달 들어 지금보다 더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진행 중으로 세계 각국에서 입국 제한 조치를 풀지 않고 있어 업황이 회복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1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코로나19로 한동안 운항을 중단했던 미국 댈러스와 오스트리아 빈 노선의 운항을 내달부터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다음 달 미국 로스앤젤레스(LA)와 샌프란시스코, 애틀랜타, 워싱턴과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등 미국·유럽 노선의 운항 횟수는 이달보다 늘릴 예정이다. 베트남 하노이와 호찌민 등의 운항도 늘리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일본의 입국 규제 강화 이후 중단했던 인천~오사카 노선을 7월 1일부터 주3회 운항하고, 7월 말부터는 매일 운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런던(주2회)과 파리(주1회), 터키 이스탄불(주1회)노선도 운항을 재개할 방침이다.

홍콩과 호찌민, 하노이, 방콕, 샌프란시스코, LA, 프랑크푸르트 노선 등이 운항은 이달보다 주 1~2회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는 여객 수요보다 선제적으로 화물 공급 확대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대한항공, 아시아나 양사가 운항을 재개하거나 늘리려는 노선은 대부분 화물 수요가 뒷받침되는 노선이다.

대한항공은 지난 11일부터 국적 항공사 중 처음으로 기내 좌석에 짐을 실을 수 있도록 특별 포장된 별도의 가방인 카고시트백을 이용해 여객기 좌석에 승객대신 화물을 싣고 운항하며 화물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있다.

다만 대한항공의 국제선 110개 노선 가운데 다음 달 운항 노선이 여전히 30개 미만에 그치며 국제선 좌석 공급량이 20%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등 당분간 국제선 노선 정상화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치료제가 개발되지 않는 이상 항공산업이 작년 수준의 수요를 회복하려면 적어도 3~4년은 필요하다고 전망한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아직 7월 노선도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며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직전에 운항 재개나 증편을 취소하게 될 수 있어서 계속 상황을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13일 오후 2시 기준 외국인의 입국을 막거나 입국 절차를 강화한 곳은 총 182개 국가·지역에 달한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