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항공은 최근 인수 무산 수순을 밟고 있다는 시각이 우세했던 만큼 이스타항공 인수에 대해 긍정적인 의사결정을 재차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이날 이스타항공에 대한 셧다운과 인력 구조조정 지시 등 M&A 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쟁점에 대해 입장을 내놓을 예정이다.
제주항공은 그동안 M&A 작업이 진행 중이어서 이스타항공의 경영에 일체 관여한 바가 없다고 주장해 왔지만, 최근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 측이 잇단 녹취파일과 회의록 등을 공개하며 비난의 수위를 높이며 분위기가 역전되고 있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가 전잘 공개한 녹취 파일에는 이석주 당시 제주항공 대표는 지난 3월 20일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와의 통화에서 ‘지금은 셧다운하는 것이 예를 들어 나중에 관(官)으로 가게 되더라고 이게 맞다“고 말했다.
이에 앞선 3월 9일과 10일 양사의 간담회 회의록에는 제주항공이 기재 축소(4대)에 따른 직원 구조조정과 비용 통제를 위한 전 노선의 운휴를 요구했다는 내용도 포함했다. 체불 임금 역시 그동안 제주항공이 주장한 것과 달리 제주항공이 책임지고 해결하겠다는 내용이 수차례 언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항공은 그동안 셧다운과 임금체불 등에 대한 책임을 놓고 양측이 진실 공방을 벌이던 가운데 이 같은 녹취파일과 회의록이 공개되며 대외적인 신뢰에 타격을 입게됐다. 또 그동안 제주항공은 M&A 지연 책임이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아 이스타항공의 책임이라고 주장해 왔으나 이번 건으로 M&A지연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의 희망퇴직 계획이 양사의 주식매매계약(SPA) 체결 이전부터 이스타항공이 자체적으로 준비한 사안이라고 반박하고 나서 양사간의 진실공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은 임금 체불 해소 책임에 대해서도 ”딥 클로징을 빨리 해서 지급하자는 원론적 내용이며 클로징 전에 책임지겠다는 이야기는 어디에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양사 대표의 통화 내용 녹취 파일과 임원진 간담회 회의록, 이스타항공이 제주항공에 보낸 인력조정 계획안 등 양측은 폭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갈등이 커진 만큼 양사의 M&A가 무산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다만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지난 3일 채형석 애경그룹 부회장과 이스타항공의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차례로 마나 M&A성사를 당부한 만큼 양사가 막판 극적 타협을 이룰 가능성도 남아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