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해일 발생도

속도로 북북서진하고 있다.
중심 기압은 940h㎩, 강풍 반경은 약 380㎞, 최대 풍속은 시속 169㎞(초속 47m)의 매우 강한 강도로 발달한 상태다.
예상 진로는 2일 오후 3시께 서귀포 남남동쪽 약 190㎞ 부근 해상에 도달한 후 3일 오전 3시께 부산 북쪽 약 20㎞ 부근 육상으로, 3일 오후 3시께 북한 청진 남남동쪽 약 150㎞ 부근 해상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3일 새벽 부산과 경남 인근에 가장 가깝게 지나갈 것으로 예상되며, 이 시기의 강풍 반경은 최장 약 30㎞, 최단(서북서쪽) 약 20㎞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2일 오전 남부 지방, 오후에는 전국으로 비가 확대되고, 3일 밤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이 많겠다.
태풍의 이동 경로와 가까운 경남과 동해안, 강원 영동, 제주도를 중심으로 매우 강한 바람이 불것으로 예상돼 건설 현장과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피해 및 안전사고 예방, 농작물의 피해가 없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풍랑은 남해상에는 1~3일에, 동해상은 2~4일에 강한 바람과 함께 8~12m의 매우 높은 물결이 일고, 서해상에서도 2~3일 2~6m의 높은 물결이 예상된다.
부산지방기상청은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사전에 안전한 해역으로 대피하기 바라며, 양식장에서도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각별히 대비하기 바란다"며 "특히, 제주도와 남해안, 경상 해안은 바닷물의 수위가 높은 기간(대조기)까지 겹치면서 폭풍 해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해안도로와 해안가 저지대에서는 침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제9호 태풍 마이삭(MAYSAK)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