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ad
ad

HOME  >  금융·증권

겨울철 더욱 심해지는 허리 통증, 원인은 허리디스크 의심해야

입력 2020-12-30 09:00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김태현 병원장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김태현 병원장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날씨가 영하권으로 떨어지면서 척추 관절, 특히 허리 통증을 호소하며 내원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사람은 살면서 한 번쯤은 허리 통증을 경험하는 것이 대부분일 정도로 허리 통증은 흔하지만 평소 허리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이라면 겨울철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날씨가 추워지면 허리 주변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고 유연성이 떨어지면서 관절에 쉽게 무리가 오기 때문이다. 허리 통증에는 다양한 원인 질환들이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은 흔히 디스크라고 말하는 추간판 탈출증을 뽑을 수 있다.

허리 디스크는 척추의 뼈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디스크가 돌출되거나 빠져나오게 되는 질환이다. 빠져나온 디스크는 주변을 지나가는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데, 과거에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잘못된 자세와 습관, 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젊은 층도 안심할 수 없다.

허리 디스크의 증상은 허리에 발생하는 통증인 요통과 엉덩이와 다리까지 퍼져나가는 하지 방사통이 대표적이다. 엉덩이부터 시작해 다리를 지나 발가락까지 저림 증상이 나타나고 감각 능력이 둔해지며 허리를 굽히거나 숙이면 통증이 심해진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허리를 펴게 되면 통증이 잠깐 동안 사라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지나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허리 디스크는 방치하면 안 되는 질환 중 하나로 거론될 만큼 방치한 시간 동안 신경 부분의 손상이 심해져 만성 허리 통증이나 대소변, 하지 마비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증상이 나타나면 가급적 빠르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김태현 병원장은 “허리 디스크의 경우에는 진행 정도에 따라서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다. 초기에는 물리치료나 약물치료와도 같은 보존적 치료법을 통해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이런 치료와 더불어서 자연적으로 통증이 완화되는 사례도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하지만 재발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질환이기에 꾸준한 근력 운동이나 재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증상의 악화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큰 호전이 없고 통증이 더 악화된다면 고주파수핵감압술과 같은 수술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고주파수핵감압술의 경우에는 기존의 허리디스크 수술과 비교할 때 환자의 부담을 줄어들 수 있지만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게 시술받는 것이 더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어 김태현 병원장은 “고주파수핵감압술은 열선이 내장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약 50도 정도의 고주파 열을 탈출된 디스크에 직접 가해서 디스크의 부피와 압력을 낮춰서 제거하는 방법이다. 또한 디스크의 상태를 실시간 영상 장치를 통해 확인하면서 치료가 시행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치료가 가능하다”라고 전했다.

허리 디스크와 같은 척추질환에 가장 좋은 예방법은 올바른 생활습관이다. 일상생활 속 잘못된 자세를 고쳐야 하고 다리를 꼬는 습관이나 한 쪽 무릎 위에 다른 쪽 다리를 올리는 습관은 자제해야 한다. 또한, 척추에 무리가 되지 않는 운동을 꾸준하게 해주면서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