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6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척추에 있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좁아져 신경을 압박 또는 자극하여 허리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은 경우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노화로 인한 후천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게 된다.
초기 증상으로는 무지근한 허리 통증과 더불어 뻐근한 느낌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기후나 자세 등의 영향으로 통증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다리 감각 저하, 저림, 근력 약화 등의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특히 허리디스크와는 달리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만으로도 통증이 완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는 통증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허리를 앞으로 구부린 채 오랜 시간 생활하다 보면 척추가 그대로 굳을 수 있으며 심할 경우 보행장애를 동반해 일상생활에도 큰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전형준 광명21세기병원 병원장은 “초기 척추관협착증의 경우라면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 등과 같은 보존적 치료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증상의 개선이 가능하지만, 보존적 치료로도 효과가 없을 정도로 진행된 경우라면 척추내시경술을 통해 증상의 개선이 가능하다”며, “이는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피부에 약 5mm 정도로 최소 절개를 시행한 후에 가느다란 관과 함께 내시경을 삽입하여 근본적인 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 원장은 “해당 시술은 최소 절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출혈이 적고, 신경 유착의 우려와 척추 불안정과 같은 후유증을 최소화하면서 문제가 되는 부위만을 찾아 치료할 수 있다”며, “또한, 전신 마취로 진행되는 시술이 아니기 때문에 마취의 위험성이 있는 고령의 환자들이나 당뇨, 고혈압 등의 기저 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도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