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인 대출 규제 완화와 임대차 3법 전면 재검토 여부가 전월세 시장에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7단지 전용 66㎡의 전세는 6억원에, 같은 단지 전용 59㎡는 4억3000만원에 신규 전세 거래가 이뤄졌다. 동일 주택형의 전세가격 대비 1억7000만∼2억원 낮춘 급전세들이다.
목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전세 시장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쓴 재계약 위주로 돌아가면서 급매가 나와도 집을 보러 오는 사람이 없었는데 대선 이후 분위기가 조금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구 고덕동 고덕아이파크 전용 84㎡의 경우 동일 매물보다 2억원 저렴한 7억5000만∼8억5000만원의 급전세 매물이 지난주부터 일부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고덕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장기간 정체돼 있던 급전세들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마포의 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전세대출이 안돼 이사를 못 하는 세입자가 많았던 것으로 안다"면서 "최근 들어 한동안 막혔던 대출이 다소 풀리면서 문의도 오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실제 꽉 막혔던 전세자금대출 규제가 풀릴 조짐을 보이면서 급전세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움직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금융권에선 대선 이후 그간 전세자금대출 중단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 가계대출 총량관리 규제를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윤 당선인의 가계대출 총량관리 폐지,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대출 규제 완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전세시장은 임대차3법에 대한 계약갱신청구권이 소멸된 오는 7월 폭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하지만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1월 말 조사 이후 7주 연속 하락했다.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오는 7월 말 소멸된 전세가 시중에 나오더라도 당초의 우려와 달리 신규 전셋값이 크게 오르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새 전셋집을 찾아야 하는 세입자는 4년 전과 비교해 전세금 부담이 커졌지만 전세 시세가 안정적이어서 신규 전셋값을 더 밀어 올리진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일각에선 이미 전세값이 오를만큼 올라 더 급등하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그러나 대출 규제가 완화되고 전세대출이 본격적으로 원활해지면 전셋값이 다시 불안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오른 전세금을 마련하지 못해 '주거 상향 이동'을 포기했던 수요가 되살아나면서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올해 서울 아파트 신규 입주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앞으로 대출 규제 완화와 새 정부의 임대차법 손질 방향이 전월세 시장의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postpr1@beyondpo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