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지럼증의 대표적인 양상으로는 현훈이 있다. 현훈이란 자신이나 주변이 빙글빙글 회전하는 것 같이 느끼는 어지럼증을 말한다. 움직이거나 고개를 흔들면 증상이 더욱 심해지며 매스꺼움과 구토를 동반한다. 간혹 신경증세를 동반하는 위험한 경우도 있다.
현훈은 원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귀 안의 평형기관인 전정기관의 문제가 생기는 말초성 어지럼증으로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이석증,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전정기관은 귀의 가장 안쪽에 위치해 머리의 수평과 수직 선행 가속도, 회전운동 등을 감지하고 이는 다시 중추평형기관에 전달돼 신체의 균형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뇌 질환과 관련된 중추성 어지럼증으로 대표적으로 뇌졸중, 뇌종양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다. 방치하면 자칫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수 있어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때문에 어지럼증과 함께 안면마비, 팔다리 위약감, 감각이상 등 증상이 동반된다면 대수롭지 않게 여겨서는 안 된다.
어지럼증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걸맞는 검사와 치료가 진행돼야 한다. 회전성 어지럼증의 대부분은 귀의 전정기관, 이석기관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아 안진검사, 전전기능검사 등을 통해 진단된다. 반면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 경우라면 뇌실질 MRI, 뇌혈관 MRI와 같이 정밀한 검사로 원인 질환을 찾아야 한다.
특히 과거 뇌졸중을 앓았던 경험이 있거나 고혈압,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뇌혈관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높으므로 더 주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사람은 어지럼증이 발생했다면 그 강도가 약하더라도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움말: 광명21세기병원 신종화 원장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