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관련 음식 섭취와 직결되는 치아 건강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졌다. 임플란트 등 인공 치아가 대중화되고 있는 것도 이런 현실을 반영한다. 임플란트를 통해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노년층들이 크게 늘어난 것.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임플란트는 고가의 시술이라 생각해 치아를 상실하더라도 방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건강보험 적용을 통해 이전보다 비용 부담이 적어지면서 임플란트 시술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건강보험 임플란트의 경우 만65세 이상의 어르신들에 한해 적용된다. 평생 2개까지 적용, 10~30%의 자기부담금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자기부담금 비율은 건강보험에서 나뉘는 의료급여 수급권자 1종과 2종, 일반수진자에 따라 달라진다.
다만 임플란트 시술 자체는 고난이도의 치료이기 때문에 정밀한 진단을 통해 개인별 치아 구조와 잇몸 상태, 치조골의 손상 여부 등을 파악한 뒤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립 이후에는 철저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구강 청결 유지에 힘쓰고 정기적으로 치과에 방문해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거나 주변 치아의 충치 등의 문제가 발생해 재수술이 필요한 상황까지 생길 수 있다.
류권열 노원 서울열린치과 원장은 "임플란트는 한 번 식립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치과 선택부터 신중을 기해야 한다"며 "특히 수술에 제약이 많은 전실질환 환자들의 경우 보다 세심한 주의와 관찰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