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전국에서 일반분양 된 후분양 아파트는 총 3695가구로 나타났다. 2020년 물량(6170가구)과 비교해보면 40.1% 급감한 수치다. 우리나라 청약시장은 선분양 중심으로 이뤄져 있는 가운데, 후분양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다.
후분양은 주택공정률이 60%이상 진행된 후 분양을 받는 방식으로 선분양 대비 안정성이 높은 분양방식이다. 공사중단 등 문제 발생 시 상대적으로 실수요자의 피해가 적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사전 청약 물량이 늘어나면서 실제 입주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후분양은 몇 년 후가 아닌 분양 당해 입주 등 빠른 입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후분양 아파트는 청약시장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지난해 11월 경기도 파주시에 공급된 후분양 아파트 ‘운정신도시 푸르지오 파르세나’는 753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2만7413명이 몰려 평균 36.41대 1의 경쟁률로 1순위 마감했다. 같은 달 파주시에 공급된 선분양 아파트 ‘금촌역 신일해피트리 더루츠’가 평균 2.14대 1의 1순위 경쟁률을 기록한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모든 주택을 후분양으로 공급하고 있는 SH공사 역시 분양하는 단지마다 높은 경쟁률로 1순위 청약 마감을 이어가고 있다. 2020년 6월 분양한 ‘고덕강일 공공주택지구’는 8단지 124.19대 1, 14단지 109.5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같은 해 11월 분양한 ‘위례포레샤인’의 경우 평균 경쟁률이 15단지 288.8대 1, 17단지 264.61대 1에 달했다.
임대아파트 시장에서도 후분양의 인기는 뛰어나다. 3월에 청약을 받은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수원역 푸르지오 더 스마트’의 경우, 올 6월 입주하는 후분양 단지로 252가구 모집에 6880건의 청약이 신청되며 평균 27.3대 1의 청약 경쟁률을 나타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최근 후분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후분양 활성화에 대한 이야기가 꾸준히 나오고 있는 만큼 내 집 마련을 서두르는 수요자라면 연내 후분양으로 공급되는 단지들을 주목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올해 분양을 예정한 후분양 단지들도 눈에 띈다. 우선 5월 충청남도 서산시 서산테크노밸리 일대에 ‘서산 테크노밸리 우미린’이, 같은 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 지축지구 일원에 ‘e편한세상 지축 센텀가든’,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 일원에 위치하는 ‘시지 삼정그린코아 포레스트’ 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postpr1@beyondpo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