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과거 초창기 미술, 아트 중심의 개방성과 다른 철저히 현물과 연동된 NFT 민팅 검증 플랫폼을 선 보이고 있다.
첫번째는 사전 심사 등록제다. 블록체인의 개방성과 이로 인한 투명한 제고를 위해 무차별 밋업을 방지하고, 기존 오픈씨 외 블러 등 다른 일명 제품 선별에 엄격하게 분리하여 거래에 초점을 두었다고 데이터시티위마켓 측은 설명했다.
대표적 분야로 ● 부동산등 실물 자산 조각 투자 ● 생명공학 권위자 이윤식 박사를 필두로 하는 미래 줄기세포 메디컬센터, 공장, 물류단지 조성 등 바이오 산업 육성 NFT ● 이미지업성형외과, 세라케어등을 선두로 하는 의료, 치유 의료관광 NFT ● 글로벌 체크카드인 마스터카드에 메타시안스 기축통화 MDC코인 탑재 데빗 카드의 발급 NFT ● 케이컬처의 우수성을 알리는 랑유 김정아 디자이너의 한정판 디지털 화보, 아이돌 그룹 프랭커스의 한정판 실물모자, K한복 패션 아젤리아드레스 임은주디자이너. 한정판화보, 전통의 K-팝 타임즈 한정판 화보를 글로벌 판매른 위한 NFT 발행 ● K푸드를 NFT를 통해 확대하기 위해 백년가약 교동짬뽕을 필드로 한 글로벌 프랜차이즈화 ● 환경등 ESG NFT 활성화를 위한 멸종 종 구상나무(크리스마스트리용. 나무)단지 살리는 제주 프로젝트NFT ● 기타 희귀본 아트 제품 등으로 행사가 약 3시간에 걸쳐 한국어, 영어로 진행된다.
이날 참가자 중 여권소지자는 즉석에서 MDC 코인탑재 마스터 데빗 카드 신청을 받는 행사도 하며, 참가자 중 당일 청약 신청자 중 제네시스, 그랜드 카니발, 그랜저, 소나타 등 5년 무상 사용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데이터시티위마켓 장진우대표는 “NFT 및 덱스(스왑형 탈중앙형거래소) 외에 이미 구축중인 게임존 외에 한글세계화 교육, 비 영어권 영어 평준화 교육, 쇼핑몰(메타커머스)에 이어 조만간 메타버스 글로벌 사업에 적합한 컨텐츠인 관광존, 종교관, 추모관, 펫 전용관 등의 업체 선정을 곧 마무리하고 생성형 챗 GPT를 접목시켜 빠르게 글로벌 에이전트를 모아 세계 시장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대표는 향후 회사의 큰 사업 방향은 기후변화에 따른 탄소배출권 사업이. 명분과 실익 ,3D 메타버스의 기술 적합도등 모두에 부합된다며 탄소배출권이 가능한 동남아 중 필리핀 등을 언급하고 대규모 탄소배출권 농공단지를 NFT로 자금을 조성해 대규모 ESG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장대표는 “특히 데이터시티위마켓의 플랫폼 보상책인 S2E(STAY to Earn)와 I2E (INTEGRATION to Earn)의 보상플랜으로 운영사, 크리에이터, 컨텐츠 중계자 또는 제휴사, 유저 모두가 수익을 공유하는 첫 사례로 시장을 주도할 것이며 동남아, 중남미, 동유럽, 중국, 인도, 아프리카를 주 타켓으로 글로벌 X Y세대를 겨냥하여 2024년까지 최소 1억명의 구매력을 갖춘 유저를 모으겠다”고 말했다.
김신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