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하버드대가 반유대주의 운동에 연루됐다는 이유로 이같은 지원금 중단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버드대는 연구 교육 공공 서비스 프로젝트 등을 위해 연방 정부로부터 2억5560만달러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또한 87억달러 규모의 연방 지원금을 맡아 왔다.
린다 맥마혼 교육부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하버드대는 학생들을 반유대주의 인종차별로부터 지켜주고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데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는 대학들에 대한 연방 지원금을 정밀 조사하고 있으며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가담한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비자 취소와 추방 조치를 잇따라 취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달 초 컬럼비아대에 대한 4억달러 규모의 연방 지원금을 취소한 바 있다.

WSJ에 따르면 컬럼비아대는 연방 지원금이 중단되자 지난달 하순 최근 정부 관계부처에 보낸 문서에서 교내 마스크 착용을 금지하고 캠퍼스 경찰에 학생 체포권한을 부여하며 중동·남아시아·아프리카 관련 학과와 팔레스타인 연구센터에 대한 감독권한을 가진 선임 교무부처장을 임명하겠다고 동의했다.
미 연방정부가 교내 반(反)유대주의를 방치했다며 아이비리그 명문대인 컬럼비아대에 재정 지원과 정부계약을 취소하자 대학 측이 정부의 요구 사항을 수용한 것이다.
또한 카트리나 암스트롱 임시 총장이 물러났다.
하버드대는 지난달 교직원의 신규 채용과 지출을 중단하겠다는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하버드대는 530억달러에 달하는 기부금을 받은 가장 부자 대학이지만 캠퍼스내에서 반 유대주의 시위를 다루는 데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성구 전문위원 글로벌대학팀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