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스템은 다인홀딩스에서 발생하는 고객 결제 흐름·거래 이력·정산 데이터를 통합 수집·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보안성과 신뢰도 또한 대폭 강화됐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는 자사 서비스 내 정산 효율과 고객 보호가 주된 목적이지만, 데이터 기반 신용 평가, 고객 금융 패턴 분석, 외부 제휴 정산 서비스 등으로도 확장할 여지가 충분하다”며 “금융업 진출은 아니지만, 금융 기능의 일부를 내부화하고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다인홀딩스는 이 시스템을 통해 △개인별 결제 성향 분석 △이용자별 거래 안정성 평가 △B2B 파트너의 지급·수금 흐름 관리 등도 자동화했으며, 향후 제휴사 또는 플랫폼형 협력 모델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 API도 함께 개발 중이다.
업계에서는 비금융기업이 고객 금융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운영·분석하는 체계를 갖추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는 ‘비(非)금융사의 금융 기능 내재화’ 흐름과 맞물려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핀테크 전문가 A씨는 “결제를 통해 얻는 고객 금융 흐름 데이터는 마케팅, 리스크 관리, 고객 맞춤형 서비스 기획 등 다방면에 활용 가능하다”며 “다인홀딩스처럼 기반 기술과 고객 데이터를 동시에 확보한 기업은 향후 BNPL(선구매 후결제), 간편 금융 인증, 정산 플랫폼 사업으로도 확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다인홀딩스그룹은 오는 하반기부터 내부 시범 사업을 통해 정산·수납 자동화 시스템의 외부 파트너 제공 가능성도 테스트할 계획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