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투기적 안전자산 상품 이미지에서 벗어나 주요 투자 상품으로 부상 의미

가상화폐가 단순한 안전자산 상품을 벗어나 글로벌 투자대상의 중심적인 위치로 이동한 것이라는 평가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지니어스 법은 달러를 담보로 한 스테이블코인의 엄청난 가능성을 확고히 하고, 실현할 명확하고 단순한 규제 틀을 만든다"면서 "어쩌면 이건 인터넷의 탄생 이후 금융 기술에서 일어난 가장 위대한 혁명일 수 있다"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 같은 법정화폐와 일정한 교환가치를 가지도록 설계한 가상화폐다.
그 가치가 안정적이면서 거래가 편리하고 수수료는 은행보다 낮아 해외 송금에 자주 사용되는 등 산업 규모가 급성장했지만, 그동안 규제 사각지대에 있었고 가상화폐 업계는 스테이블코인 활성화를 위해 규제 입법을 촉구해왔다.
스테이블코인은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유동성 자산을 담보로 두는 데 지니어스 법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때 같은 가치의 달러나 단기 미국 국채를 담보로 사도록 했다.
로이터통신은 가상화폐 시총이 4조달러를 돌파함으로써 가상화폐가 투기 내지는 사기 상품 이미지에서 벗어나 자산 매니저들이 새로운 교환 상품으로 인정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자리잡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코인펀드의 크리스 퍼킨스 CEO는 "지니어스 법안이 통과됨으로써 가상화폐가 이제는 중요한 자산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많은 기업들이 가상화폐 대장 상품인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고 공기업들도 장기적인 균형재정을 맞추기 위해 토큰을 구매하고 있는 추세다.
증권사 번스타인은 비트코인 가격이 올해 말께 개당 20만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위 가상화폐인 이더리움의 경우 지난 3개월간 두 배이상 올랐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